집권하면 ‘DJ 통합 리더십’ 배우길
특정 조직 정치적 앙갚음도 말아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집권 시 정치보복을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행동으로 실천해야 한다. 이 후보는 어제 기자간담회에서 “권력을 남용한 정치보복의 해악을 누구보다 잘 아는 제가 분열의 정치를 끝낼 적임자 아닌가”라며 “내란 세력의 죄는 단호하게 벌하되 특정인을 겨냥한 정치보복은 결단코 없을 것”이라고 했다. 환영할 만한 약속이다. 그 길이야말로 이 후보가 밝혔듯이 “서로를 미워하고 제거하려는 정치를 끝내고, 공존과 소통의 문화를 되살리는 민주주의 복원의 지름길”이다.
이 후보는 그동안 정치보복을 하지 않겠다는 뜻을 수차례 밝혔으나 대선이 열흘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지지율 선두주자가 사실상 국민 앞에서 공언했다는 점에서 그 무게가 다르다. 과거 정권교체 후 정치보복 논란에 국론이 분열되고 국정 운영에 악영향을 준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가까운 예로 문재인정부의 이른바 ‘적폐청산’이나, 윤석열정부의 전 정권 고위 인사, 정치적 경쟁자에 대한 수사나 감사도 그 연장선에 있다고 봐야 한다. 사후 진영을 막론하고 통합의 리더로 재평가받는 김대중(DJ) 전 대통령에게서 배워야 한다. DJ는 박정희·전두환 군사정권에서 목숨까지 위협받는 정치적 역경이 있었다. 그런데도 집권 후엔 전두환·노태우 사면을 결단하고 박정희기념관을 추진하는 통합 행보로 경제 위기도 극복했다.
이 후보가 만약 집권한다면 특정인뿐만 아니라 특정조직, 특정세력에 대한 보복도 삼가기 바란다. 민주당의 서슬 퍼런 겁박에 사법부가 동요하고 있다. 12·3 비상계엄 사태에 연루된 군, 이 후보와 악연인 검찰, 문재인정부를 공박했던 감사원, 정치적 중립 논란의 국민권익위·방송통신위 등도 초긴장 상태다. 보복의 악순환을 끊지 못하고 점령군처럼 군다면 민심 이반의 역풍은 불 보듯 뻔하다.
이 후보는 기자간담회에서 “새 정부는 6월 4일부터 바로 난파선의 키를 잡아야 한다”며 “제가 국민의 선택을 받게 되면 가장 먼저 대통령이 지휘하는 비상경제 대응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하겠다”고도 했다. 차기 리더십은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경제와 민생이다. 대선 후보 누구나 당락에 관계없이 ‘불황과 일전을 치른다’는 일념으로 경제와 민생 회복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 후보가 어제 밝힌 공직자 국민추천제, 의제별공론화위원회 등은 포퓰리즘적 요소가 있으니 집권한다면 부작용을 경계하며 긍정적 효과를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기 바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