男 절반 “배우자 의존” 여성의 2배
“자녀에 맡기겠다” 응답 4%에 불과

40대 이상 성인 10명 중 4명은 고령이거나 아플 때 요양보호사가 돌봐줄 거라고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반면 자녀에게 돌봄을 맡길 것이라는 응답은 4%에 불과했다. 돌봄 관련 배우자에 대한 의존도는 남성이 여성보다 2배 넘게 높았다.
재단법인 돌봄과미래는 21일 이런 내용의 ‘지역사회 돌봄 인식과 수요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5∼30일 전국 40세 이상 남녀 1000명을 조사했다. 이번 조사는 내년 3월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돌봄통합지원법) 시행을 앞두고 국민 인식 등을 알아보기 위해 이뤄졌다.
고령이나 질병 등 보살핌이 필요해질 경우 예상되는 돌봄 주체에 대해 응답자의 39%는 ‘요양보호사 등 돌봄 인력’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배우자(35%)와 본인 스스로(21%)가 뒤를 이었다. 자녀가 돌볼 것이라는 예상은 4%에 불과했다.
배우자의 돌봄 예상에 대해서는 남녀가 큰 차이를 보였다. 남성의 49%는 ‘내가 아프면 아내가 나를 돌볼 것’이라고 답했으나, 여성은 22%만이 ‘내가 아프면 남편이 나를 돌볼 것’이라고 답해 격차가 두 배가 넘었다. 남성의 배우자 의존도가 훨씬 크다는 경향성이 나타난 셈이다. 여성은 요양보호사(48%)나 본인 스스로(23%)가 돌봄을 맡을 거란 비율이 남성(각 30%, 19%)보다 높게 나타났다.
돌봄이 필요할 때 희망하는 거주 형태는 ‘현재 거주하는 집’이 49%로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돌봄 받기 좋은 지역사회 내 주거시설로 이주하고 싶다는 응답은 32%였으며, 노인복지시설 입소 희망은 7%에 그쳤다. 상당수가 기존에 살던 지역사회 중심의 돌봄을 원하는 것이다. 선호하는 임종 장소도 ‘자택’이 48%로 가장 많았다.
돌봄서비스의 책임 주체는 ‘국가’(85%)라는 응답이 제일 많았다. 가장 지원이 필요한 서비스로는 ‘건강관리·의료’(61%)가 꼽혔으며, 노인 돌봄 정책 중 최우선 과제로 선정된 건 ‘자부담 경감’(42%)이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