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서 요격하는 차세대 방어체계
총 건설 비용 244조원 제시 불구
전문가 “수조 달러 들 수도” 지적
핵심 기술 개발도 상당 기간 소요
레이건 땐 좌초… 전철 밟을 우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주 기술을 활용해 중국 등의 위협으로부터 미국 본토를 지키는 미사일방어망인 ‘골든돔’(Golden Dome)을 임기 중 실전 배치하겠다고 밝혔다. 미소 냉전기인 1980년대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이 추진하다 미완에 그친 이른바 ‘스타워즈’ 프로젝트를 재추진하겠다는 구상이지만 천문학적인 사업비용 등으로 실현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20일(현지시간) 미국 ABC방송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이 배석한 가운데 백악관 집무실에서 개최한 발표 행사에서 골든돔의 설계를 결정했다면서 “내 임기가 끝나기 전에 전면적으로 운용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골든돔에 대해 “우주 기반 센서 및 요격 무기를 포함한 차세대기술을 육상, 해상, 우주에 배치할 것”이라면서 “골든돔 건설이 완성되면 지구 반대편과 우주에서 발사된 미사일도 요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골든돔 건설 전체 비용이 1750억달러(약 244조원)에 이를 것이며, 이 가운데 250억달러(약 35조원)는 현재 의회에 계류 중인 이른바 ‘크고 아름다운 단일 법안’(예산 및 감세 관련 트럼프 대통령 기조를 반영한 포괄적 법안)에 반영돼 있다고 덧붙였다.
골든돔은 이스라엘의 미사일 방공체계인 아이언돔과 유사한 차세대 미사일방어시스템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이를 미국에 구축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지상 레이더로는 탐지가 어려운 신형 미사일을 인공위성에 탑재된 우주 센서로 추적하고 우주 공간에 배치된 요격기를 통해 상승 단계에 있는 미사일을 타격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전망돼 레이건 전 대통령 시기였던 1983년 수립됐던 ‘전략방위구상(Strategic Defense Initiative)’이 자연스럽게 떠오른다.
우주에 떠 있는 인공위성에서 소련의 핵무기를 요격한다는 내용으로 ‘스타워즈’ 프로젝트로도 불렸던 전략방위구상은 당시 기술의 한계와 이에 따른 막대한 비용 문제로 실현되지 못한 채 1993년 공식 폐기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날 “우리는 레이건 전 대통령이 40년 전에 시작한 과업, 미국 본토에 대한 미사일 위협을 영원히 종식시키는 일을 진정으로 완수할 것”이라면서 골든돔이 전략방위구상의 연장선에 있음을 인정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공언대로 골든돔이 실현 가능할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 무엇보다 골든돔을 위한 비용이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한 규모를 훨씬 뛰어넘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정치전문매체 더힐은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전체 골든돔 시스템을 개발·구축하는 비용이 1750억달러를 훌쩍 뛰어넘는 수천억 달러에 달할 것이며, 조 달러 단위가 될 수도 있다고 짚었다.
전략방위구상이 폐기된 지 32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골든돔을 현실화시키기에 기술적 한계가 존재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목표물이 비행중일 때 우주에서 이를 요격하는 기술, 고에너지 레이저나 마이크로파를 특정 방향으로 집중해 쏘는 기술 등 개발하려면 여러 해가 필요한 기술들이 남아 있어 트럼프 대통령의 공언과 달리 임기인 2029년 1월까지 실전배치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여기에 골든돔 사업 중 많은 부분을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인 일론 머스크가 운영하는 스페이스X가 수주할 가능성이 커 적절성 논란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