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근본 원인 제거부터” 요지부동
‘조건 없는 휴전’도 헛바퀴
트럼프 “협상 진전 없으면 물러날 것”
구체적 성과 못 내자 중재 중단 시사
서방 언론 일제히 비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재등판’에도 교착상태에 빠진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의 돌파구가 좀처럼 열리지 않는 모양새다. 트럼프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2시간에 걸친 통화에도 구체적 진전이 이뤄지지 않자 다시 한 번 “협상이 이뤄질 것 같지 않으면 물러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푸틴 대통령과의 통화에 대해 “대화의 톤과 정신이 훌륭했다. 매우 잘됐다고 믿는다”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휴전과, 더 중요한 전쟁 종식을 향한 협상을 즉시 시작할 것”이라고 썼다. 그러면서 “러시아는 이 재앙적 대학살이 끝나면 미국과 대규모 무역을 하고 싶어하고 나도 동의한다”며 “우크라이나도 국가 재건 과정에서 무역의 큰 수혜자가 될 것”이라고 전후 사업에 대한 청사진까지 제시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의 통화는 지난 16일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이뤄진 협상에서 구체적 합의를 도출하지 못하면서 성사됐다. 종전 협상 타결에 자신감을 보였던 취임 초기와는 달리 휴전 논의가 오랫동안 헛바퀴를 돌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미국이 협상 과정에서 빠질 수 있다고 강조해왔다. 다시 협상 전면에 모습을 드러낸 만큼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통화 성과에 대한 자찬을 늘어놓았지만 정작 휴전과 전쟁 종식을 향한 돌파구로 해석될 내용은 찾아보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푸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 후 자국 기자들과 만나 “우크라이나에 평화협정의 윤곽을 그리는 각서를 제안하기로 트럼프 대통령과 합의했다”면서도 “중요한 것은 위기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라고 기존 요구 조건을 굽히지 않았다. 이 조건에 우크라이나의 비무장화, 서방 군사지원 차단, 러시아의 정치적 영향력 확보 등이 포함된 만큼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의 대화가 러시아의 태도 변화를 끌어내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크레믈궁은 트럼프 대통령이 성과로 내세운 각서에 대해서도 “기한은 없다”며 우크라이나와의 대화를 서두를 뜻이 없음을 분명히 하며 “이날 통화는 매우 희망적인 대화였다”고 했다.
애초 기대를 모았던 ‘즉각적이고 조건 없는 휴전’ 합의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정상회담 개최 등과 관련한 진전을 이루지 못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중재에 한 걸음 물러서는 모습도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휴전과, 더 중요한 전쟁 종식을 향한 협상을 즉시 시작할 것”이라면서도 “그것을 위한 조건들은 두 나라 사이에서 협상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중재 역할을 교황청에 넘기는 듯한 발언도 이어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교황청이 협상 중재에 관심이 크다면서 “(휴전 논의를) 바티칸에서 개최하면 좋을 것 같다. 뭔가 특별한 의미를 지닐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지만 (진전이 없을 경우) 그냥 물러날 것이고, 그들은 계속 (전쟁을) 이어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건 원래 유럽의 문제였다. 유럽의 문제로 남았어야 했다”라며 “하지만 지난 (조 바이든) 행정부가 미국이 개입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했고 그래서 우리는 금전적인 측면이나 우리가 제공한 것들에 있어서 유럽보다 훨씬 더 깊이 개입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두 정상 간 통화에 대한 평가는 박하다. 보리스 피스토리우스 독일 국방장관은 20일 브뤼셀에서 열린 유럽연합(EU) 국방장관회의에서 푸틴 대통령이 평화에 관심이 없으며, 단지 미국과 대화에서 시간을 벌려고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폴 욘손 스웨덴 국방장관도 “러시아 측에서 실제 협상에 관여하겠다는 진지한 의도가 부족하다는 점이 꽤 명백해 보인다”고 평가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직접 대화를 강조한 것은 즉각적인 휴전을 거부해 온 푸틴 대통령을 사실상 지지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