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국민 60% “일자리·주거보다 물가 안정이 먼저”

입력 : 2025-05-21 06:00:00 수정 : 2025-05-20 20:54:11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한경협 1000명 설문조사

일자리 창출 17.6%·주거 안정 9.5%
소비자 물가 5년 새 16.4% 올라

국민 10명 중 6명은 일자리·주거보다 고물가를 가장 시급한 민생회복 과제로 꼽았다.

한국경제인협회는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민생경제 안정을 위한 대책’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60.9%는 가장 바라고 있는 민생회복 과제로 ‘물가안정’을 선택했다고 20일 밝혔다. 응답자들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17.6%), 주거 안정(9.5%), 지역경제 활성화(7.8%), 취약계층 지원 강화(3.8%)보다 물가안정이 필요하다고 봤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 연합뉴스

물가안정은 전 연령대에서 1순위 과제였다. 50대에서 이를 꼽은 비율이 64.9%로 가장 높았고 이어 40대(63.5%), 60대 이상(60.7%), 20대 이하(57.2%), 30대(56.3%) 순이었다.

민생경제의 가장 큰 어려움을 묻는 질문에서도 국민 과반(53.5%)은 ‘고물가 및 생활비 부담 증가’를 꼽았다. 이어 일자리 문제 및 고용불안(11.3%), 주거비 상승 및 전·월세 부담 증가(10.0%), 경기 둔화 및 내수 위축(7.2%), 소득 정체 및 실질임금 감소(6.8%) 등을 지적했다.

한경협은 올해 들어 소비자물가상승률이 2.0∼2.2%선에서 유지되고 있으나 그간 급상승분이 누적되고 고물가가 장기화돼 국민이 체감하는 물가 수준은 여전히 높다고 평가했다. 소비자물가지수가 개편된 2020년을 100으로 놓고 비교해 보면 2016년(95.78)∼2020년(100) 물가상승률은 4.4%였으나, 2020년(100)∼2025년 4월(116.38)은 16.4%에 달했다.

응답자들은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가 우선 추진할 정책으로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35.9%)’을 꼽았다. 이어 공공요금(전기·가스·수도) 부담 경감(21.8%), 환율 변동성 완화·수입 물가 안정(17.2%), 세금 부담 완화·생활비 지원 강화(17.1%), 에너지·원자재 가격 안정(7.8%)을 원했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