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건강 국가가 챙길 것” 지지 호소
군 가산점제 부활·대학가 반값 월세
2030 맞춤 공약도… 외연 확장 가속
6·3 대선을 보름 앞둔 19일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는 1박2일 서울 유세를 시작으로, 향후 일주일간 수도권 집중 유세를 펼치며 ‘중원 쟁탈전’에 나선다. 사상 초유의 대선후보 교체 혼란과 탄핵 여파 속에 발이 묶였던 김 후보는 이날 청년·노인층 대상 복지 정책을 쏟아내며 뒤늦은 외연 확장에 속도를 높였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대한노인회를 찾아 △취약계층 대상 기초연금 월 40만원으로 단계적 인상 △요양병원 입원환자 간병비 지원(최소 50만원) △치매 노인 주간 보호서비스 지원 확대 등의 노인 복지 공약을 발표했다. 그는 “우리 노후를 건강하고, 활기차게 보내실 수 있도록 우리 국가가 뒷받침하도록 하겠다”며 “어르신들의 건강을 국가가 챙겨서 자식 눈치를 안 보도록 하겠다”고 지지를 호소했다.
김 후보는 이어 ‘성년의 날’을 맞아 서울 청계광장에서 청년층 주거·일자리·육아 지원 등 2030세대를 겨냥한 청년 공약도 쏟아냈다. 이 자리에서 김 후보는 “한 분 한 분 청년을 개별적으로 다 모셔서 돕고 반드시 꿈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국가의 기본 책무”라며 청년 표심 확보에 주력했다.
이날 김 후보에 발맞춰 국민의힘 정책총괄본부는 결혼이 관심사인 청년층 공략을 위해 공공예식장을 확대하고 ‘스드메’ 산업에 표준계약서를 도입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결혼하면 3년, 첫 아이 3년, 둘째 아이 3년 총 9년간 주거비를 지원하는 주택을 매년 10만호 공급하는 등 청년 신혼부부 맞춤형 공약도 내놨다.

아울러 당은 공공주택의 10% 이상을 1인 가구 맞춤형으로 특별 공급하고, 대학가 인근 원룸·하숙촌을 한국형 ‘화이트 존’(무규제 지역)으로 지정해 ‘반값 월세’ 구역을 확대하는 등 청년 주거 지원 방안을 잇달아 발표했다. 당은 광역급행철도(GTX) 역사 주변의 공공 유휴부지 등을 활용해 청년 기숙사를 마련하는 방안도 약속했다.
국민의힘은 또 청년 남성을 겨냥한 ‘군 가산점 부활’ 공약을 내걸었다. 중소기업 재직자 대상 도약 장려금·계좌, 저축공제 연령 상한 조정 등을 통해 대기업·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를 완화하겠다고도 밝혔다.
김 후보는 퇴근 시간 무렵엔 서울역 광장을 찾아 집중 유세를 펼쳤다. 그는 20일에도 강서·강동·서초·송파·영등포 등 서울 내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을 찾아 중도층 공략에 주력한다. 신동욱 당 수석대변인은 “서울역 유세를 출발점으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격차를 좁힐 수 있는 반전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서울역 광장 유세에서 김 후보는 “제가 판교 신도시, 남양주 다산 신도시 등 대장동의 몇십 배 되는 개발을 했지만, 한 번도 부정비리로 수사를 받은 적 없다”며 민주당 이 후보의 ‘사법리스크’를 겨냥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