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는 말의 싸움이다. 말에는 정치인의 신념과 윤리, 지향하고자 하는 목표와 국민을 향한 약속 등이 담겨 있다.
제21대 대통령선거 주요 후보들의 최근 유세 발언을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후보별 메시지 전략과 핵심 키워드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의 12일부터 17일까지 유세 현장 발언, 공약 발표, 기자회견 등 발언 전수를 수집해 분석한 결과다.

6일 동안의 유세에서 이재명 후보가 가장 많이 쓴 단어는 ‘민주’였다. 그는 183회 ‘민주’를 사용했다. 이는 이 후보가 민주당 소속이라는 점과 함께,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과 탄핵을 계기로 치러지는 조기대선이라는 정치적 맥락을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밖에 위기(84회)와 경제(80회) 등의 단어를 많이 사용했다. 이 후보는 유세에서 ‘계엄으로 인해 경제와 민생위기가 왔고, 이를 타파해야 한다’는 취지의 연설을 자주 한다. 이 후보는 12일 광화문 출정식 연설에서 “우리 앞에 놓인 지상과제는 무너진 민생과 민주주의, 평화를 회복하고 파괴된 경제를 되살리는 것”이라면서 “내란의 종식과 위기 극복은 그 첫걸음에 불과하다”고 말한 바 있다.
또 하나 눈에 띄는 부분은 ‘국민주권’을 강조하는 모습이다. 이 후보는 15일 순천 유세에서 “이재명이라는 사람은 우리 국민들이 쓰는 우리 당원들이 잠시 부리는 일꾼이자 대리인일 뿐”이라면서 “(다음) 정부의 상징은 ‘국민주권’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내란종식’과 ‘국민주권’이 핵심 키워드다.
‘경제 대통령’과 ‘규제 철폐’를 내세우고 있는 김문수 후보는 엿새간의 유세에서 ‘경제’라는 단어를 59회로 가장 많이 사용했다. ‘일자리’라는 표현도 40회나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 유세였던 12일 대구 서문시장 유세에서도 김 후보는 “대한민국 경제를 살리겠다. 민생을 살리겠다”며 지지를 호소했다. 아울러 김 후보는 유세 도중 지역 개발 공약을 적극적으로 내세우고 있다. 대구 지역경제 발언 공약이나, 울산에서 “다시 제조업 기적의 도시로 만들겠다”고 한 것들이 대표적이다. 챗GPT가 분석한 김 후보의 유세 강조점은 ‘정직’과 ‘청렴’에 있다. ‘신뢰리스크’를 갖고 있는 이재명 후보를 다분히 의식한 공략 포인트다. 16일 대전 으느정이 거리 유세에서 김 후보는 “저는 지금까지 결혼하고는 한 번도 제가 ‘총각’이라고 거짓말을 해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준석 후보는 ‘교체’가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다. 12일 기자회견에서 그는 “이번 대선은 단순한 정권교체가 아니라 양당 구조의 거대한 두 탑을 무너뜨리고 대한민국 정치를 새롭게 다시 짜는 선거”라고 강조했다. 분석 결과 이 후보 발언 중 가장 많은 언급은 ‘책임’으로 9회였는데, 다른 두 후보에 비해 빈도수가 낮은 것에 대해 챗GPT는 “이준석 후보는 ‘양당 독점 해체’, ‘절차 개혁’, ‘세대 교체’ 등 각각의 현장·대상(중도층, 청년 등)에 따라 주제를 달리하며 어휘를 분산시켰다”며 “특정 키워드 하나에 몰입하기보다 여러 키워드를 고루 섞어 쓰면서 반복 횟수가 분산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