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 협상을 이끄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주요인사 중 하나인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이 18일(현지시간) 협상에 성실하게 임하지 않는 나라는 지난달 2일 발표된 높은 관세를 다시 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NBC뉴스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서한’ 발언을 “국가들이 선의로 협상하지 않으면 ‘이게 관세율이다’라고 적은 서한을 받을 것이라는 의미”라며 “난 모두가 와서 선의로 협상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선의로 협상하지 않는 국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4월2일 발표한 상호관세율을 다시 내게 될 것이라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말하는 협상 지렛대가 이것”이라며 “너희가 협상하고 싶지 않다면 관세는 4월2일 수준으로 다시 올라간다는 것”이라고 재차 말했다. 이날 CNN과 인터뷰에서도 이를 언급했으나 언제 되돌린다는 것인지는 말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6일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해 “향후 2∼3주 이내에 (각국에) 스콧(베선트 재무부 장관)과 하워드(러트닉 상무부 장관)가 미국에서 사업을 하기 위해 그들이 내야 하는 것(관세)을 알려주는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CNN 인터뷰에서 18개 국가와 협상이 중요하다면서도 “우리가 그냥 숫자(관세)를 제시할 수 있는 더 작은 교역관계가 많다”며 “내 느낌에 우리는 중앙아메리카, 아프리카 등 지역 단위 협상을 많이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베선트 장관의 발언을 종합하면 미국이 교역 규모가 가장 큰 18개 국가와 개별적으로 협상하되, 나머지 나라는 지역 단위로 관세율을 정할 수 있다는 발언으로 풀이된다. 미국은 이미 18개 국가 및 중국과 협상만으로도 90일 관세 유예기간이 촉박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베선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유발한 불확실성이 미국 행정부의 “전략적인 불확실성”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가 다른 나라에 너무 많은 확실성을 제공하면 그들은 협상에서 우리를 가지고 놀 것”이라며 “이 협상의 끝에, 미국 소매상과 노동자 모두 삶이 나아질 것이라고 나는 자신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국제신용평가회사 무디스가 미국 국가 신용등급을 강등한 것에는 “신용평가사들이 등급을 강등하는 시점에는 이미 모든 게 시장에 반영됐다”며 “난 무디스를 그다지 신뢰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전임 행정부에서 재정적자를 물려받았다며 정부 지출을 줄이고 경제성장을 촉진해 부채 문제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비율을 강조한 베선트 장관은 “우리는 부채가 증가하는 것보다 빠른 속도로 GDP를 늘릴 것이며 그러면 GDP 대비 부채 비율이 안정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