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당 대선 주자인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가 18일 내놓은 개헌안은 모두 대통령 ‘5년 단임제’를 ‘4년제’로 바꾸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다만 이 후보는 ‘연임’을 김 후보는 ‘중임’을 제안하면서 서로 다른 해석을 내놨다.
이 후보는 이날 “대통령의 책임을 강화하고 권한을 분산해야 한다”며 대통령 4년 연임제 도입을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권에 대한 중간 평가가 가능해지면 그 책임성도 강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후보는 국회 추천을 통한 국무총리 임명, 검찰총장이나 방송통신위원장 임명 시 국회 동의 의무화 등 대통령의 권한을 분산하는 내용을 개헌안에 포함하자고 제안했다
이 후보의 개헌안 발표 뒤 김 후보도 4년 중임제 도입 및 불소추특권 폐지 등을 골자로 하는 개헌안을 발표했다. 김 후보는 “대통령의 권한에 대한 구체적인 조정도 대폭 받아들여 제왕적 대통령제를 수술하겠다”고 설명했다.

두 사람의 개헌 내용이 대통령 권한 분산이라는 큰 틀에서는 유사하지만 임기 등에 대해선 차이가 있다.
먼저 ‘연임’과 ‘중임’의 입장차가 두드러졌다.
연임제는 대통령이 연속으로 두 번 임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로, 현직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면 연속 8년간 집권할 수 있다. 중임제는 대통령이 ‘두 번’ 임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허용한 것으로 연임제와 달리 비연속적이어도 가능하다.
이 후보의 ‘4년 연임제’를 두고 김 후보는 “연임제는 대통령이 2회 재임한 후에는 한 번 쉬고 다시 2회를 재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며 “(이 후보가) ‘연임제’라는 표현 속에 장기 집권의 여지를 두고 있는 것이 아닌지를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후보는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이 이를 악용해 사실상 장기 집권을 이어가고 있는 사례를 우리는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된다”며 “개헌과 관련해 여러 차례 말 바꾸기를 일삼아 왔으니 국민 앞에 아예 문서로 확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각적인 개헌협약 체결을 제안한다”고 했다.
그러나 이 후보 측 윤호중 총괄선대본부장은 기자들과 만나 이 후보의 연임제에 대해 “4년 임기 뒤에 한 번 더 재도전할 수 있는 제도를 의미하는 것이지, 쉬었다가 또 하는 방안 등은 포함돼 있지 않다”고 일축했다.

이번에 당선되는 대통령에 한해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하자는 김 후보 제안에 대한 생각도 달랐다.
김 후보는 이날 “총선 주기와 대통령 선거를 일치시키기 위해 이번에 당선되는 대통령의 임기를 3년으로 단축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음 대선은 2028년에 치르자는 제안이다.
이에 대해 이 후보는 “국가 최종 책임자의 임기 문제는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개헌보다 더 중요한 것은 국가 안정과 민생 회복”이라고 했다. 이 후보는 내년 지방선거나 2028년 총선에서 개헌안 국민투표를 한 뒤 2030년 지방선거와 다음 대선의 주기를 맞추자는 게 이 후보 생각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