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글로벌 경제의 높은 불확실성 속에서도 국내 증권사들이 양호한 실적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주식 거래대금이 반등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요 대선 후보들도 국내 증시 부양책을 공약으로 내놓으면서 증권사들이 2분기에도 호실적을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8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국내 5대 증권사(한국투자·미래에셋·삼성·NH투자·키움증권)의 1분기 합산 순이익은 1조3986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2607억원) 대비 10.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대형사 중에서는 한국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의 실적이 두드러졌다. 한국투자증권의 1분기 순이익은 448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6% 늘었다. 금리 하락 안정화에 따라 채권과 발행어음 운용수익이 급증한 덕분이다. 미래에셋증권도 1분기 순이익이 2582억원으로 53.1%나 급증했다.
삼성·NH투자·키움증권은 전년 대비 순이익이 감소했지만 전 분기 대비 개선되고 시장 컨센서스(예상치)에 부합하며 선방했다.
중소형 증권사들도 약진했다. 현대차증권은 1분기 순이익 193억원으로 전년 동기(102억원) 대비 89.3% 급증하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iM증권은 올 1분기 25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해 6개 분기 만에, 다올투자증권은 1개 분기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증권사들의 2분기 실적 전망도 밝다. 지난 3월 대체거래소 출범 뒤 거래대금이 일평균 3조원을 넘기는 등 업황 호조세가 나타나는 가운데, 증권주들의 랠리도 이어지고 있다. 국내 주요 증권사 10개 종목으로 구성된 KRX증권지수는 올해 들어서만 30% 이상 올랐다. 6·3 조기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에서도 한목소리로 증시 부양 공약을 내놓으며 기대감을 더하고 있다.
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증권주의 상승세는 1분기 호실적과 올해 연간 실적에 대한 기대감, 정책 수혜 가능성 등이 부각된 결과”라며 “양호한 채권 운용 실적과 국내 주식시장에서의 브로커리지(매매 중개 수수료) 실적 개선, 신사업을 통한 기업금융 외형 확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