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日 군마현 조선인 노동자 추도비 철거에도 추모는 계속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5-18 15:30:55 수정 : 2025-05-18 15:30:55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전쟁의 역사 검증하고 알려야”

지난해 일제강점기 조선인 노동자 추도비가 철거된 일본 군마현에서 조선인 노동자 추모 행사가 열렸다고 아사히신문 등이 18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전날 군마현 마에바시시에서 열린 집회에는 약 90명이 참가해 전시 군마현 군수공장, 건설현장 등에 동원됐다가 희생된 한반도 출신 노동자들을 추도했다.

 

이들은 과거사를 부정하는 움직임에 저항하는 한편 미래의 교훈이 되도록 하는 활동을 계속하겠다는 결의를 담아 헌화했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추모 행사는 일본 시민단체가 한반도와 일본 간 역사를 이해하고 양국 우호를 증진하기 위해 2004년 다카사키시 현립공원에 추도비를 설치하면서 시작됐다. 행사는 지난해 군마현이 행정 대집행을 통해 추도비를 철거한 후에도 계속돼 올해 21회째를 맞았다.

 

추도비를 관리했던 시민단체로 지금은 해산한 ‘기억 반성 그리고 우호 추도비를 지키는 모임’의 미야카와 구니오 전 공동대표는 이날 “(추도비 철거로) 실의에 빠지기도 했지만 반향도 있었다”며 “전쟁 전·중·후의 문제를 확실히 검증해 나가고 싶다”고 말했다.

철거작업 이뤄지는 일본 군마현 조선인 추도비. 연합뉴스

군마현 다마무라초(玉村町)의 이시카와 마사오 정장(町長·기초자치단체장에 해당)은 최근 자민당 니시다 쇼지 참의원(상원) 의원이 오키나와 ‘히메유리의 탑’과 관련한 발언으로 논란이 인 것을 거론하며 “히메유리를 모욕하는 발언이 나오는 것도 역시 해를 거듭하면서 전쟁을 아는 사람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역사의 사실을 알고 정치와 사회로 되돌리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히메유리의 탑은 태평양전쟁 당시 징집돼 1945년 오키나와 전투에서 숨진 여학생 학도대를 기리는 위령비인데, 니시다 의원은 “(학도대에 관한 설명을 보면) 일본군이 들어와 학도대가 죽게 됐고, 미국이 들어와 오키나와가 해방됐다는 문맥이었다”면서 “역사를 수정하면 이렇게 되고 만다”고 말했다. 일본군의 갑작스러운 해산 명령으로 전장에서 사실상 버림 받게 되면서 발생한 비극이 ‘역사 왜곡’이라고 주장한 셈이다.

 

이날 추도 집회 참가자들은 전후 80주년을 맞아 ‘액션 80’이라는 새 시민단체를 결성하기로 했다. 역사를 검증하고 이웃 아시아인들과 우호관계를 다지는 활동을 해 나갈 계획이다.

 

군마현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조선인 6000여 명이 동원돼 노역한 것으로 알려졌다. 옛 일본 육군 화약공장이 있던 자리에 들어선 시민공원에 추도비가 세워졌으나, 2012년 열린 추도제에서 참가자가 “강제연행 사실을 기억하는 게 중요하다”고 한 발언을 일본 우익이 문제 삼으면서 추도비의 운명이 위태로워졌다. 군마현 당국은 ‘정치적 행사를 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추도비 설치 허가를 내줬는데 약속을 어겼다며 허가 갱신을 거부했고, 일본 최고재판소(대법원)는 이 처분이 적법하다는 결정을 확정했다.

 

군마현은 시민단체가 추도비 철거 요구에 응하지 않자 지난해 1월 행정 대집행 절차를 통해 철거를 강행했다.


도쿄=유태영 특파원 anarchy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
  • 송지효 '바다의 여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