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신용평가회사 무디스가 16일(현지시간)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최고등급인 ‘Aaa’에서 ‘Aa1’으로 강등했다. 피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에 이어 무디스까지 세계 3대 신평사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일제히 강등한 것은 1년 9개월 만이다.

무디스는 이날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장기발행자등급)을 Aaa에서 Aa1로 한 단계 하향 조정한 보고서에서 “지난 10여 년 간 미국 연방정부 부채는 지속적인 재정 적자로 인해 급격히 증가해 왔다”며 “이 기간 연방 재정지출은 증가한 반면 감세 정책으로 재정 수입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무디스는 이자 비용을 포함한 의무 지출이 총 재정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 2024년 약 73%에서 2035년 약 78%로 상승할 것으로 추산된다며 “과세와 지출에 대한 조정이 없다면 예산의 유연성이 제한적인 상태에 머물 것”이라고 우려했다.
다만, 무디스는 미국 경제가 갖춘 강점이 충격에 대한 회복력을 제공한다며 등급 전망은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조정했다. 무디스는 “관세 인상 영향으로 단기적으로 미국의 성장세가 둔화할 가능성이 있지만 장기 성장세가 의미 있는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지는 않는다”며 “또한 세계 기축통화로서 미 달러화의 지위는 국가에 상당한 신용 지원을 제공한다”라고 평가했다.
앞서 피치는 2023년 8월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전격 하향한 바 있다. 그에 앞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2011년 미국 등급을 AAA에서 AA+로 하향했다.

신용등급이 하향됨에 따라 미국 정부는 향후 국가채무를 줄이는 데 역점을 둘 것으로 보여 정부 예산 및 통화 관련 정책은 물론 통상정책에도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정부는 전 세계 교역대상국을 상대로 높은 관세 부과를 통해 무역적자를 해소하고 국가 세수를 늘려 국가채무를 해소하겠다는 계획을 밝혀온 만큼 ‘관세 드라이브’를 더 강력하게 펼칠지 주목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