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지 이어 통신표준도 확대 예정
도심형 자율주행 실증단지인 경기 성남시 판교제로시티에서 ‘자율주행차 데이터’ 국가표준(KS)이 국내 처음으로 적용됐다.
15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 산하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의 판교제로시티에는 올해 3월 국토교통부에서 제정한 자율주행차 데이터 관련 국가표준 7종이 전면 반영됐다. 이어 판타G버스 등 자율주행 실증차량들에서 국가표준 기반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며 통합관제센터와 연동하는 시스템이 최근 가동됐다.
자율주행차 데이터 표준은 차량 사이는 물론 차량과 도로 인프라 간 통신을 가능하게 만드는 데이터 형식을 국가기술표준원이 규정한 것이다. 차량 제조사가 달라도 전국 어디서나 같은 형식의 교통 신호정보를 제공받도록 했다.
앞서 판교제로시티는 2020년 자율주행차 데이터 표준 ‘K동맹’에 참여하며 정부 주도의 자율주행차 데이터 표준 개발에 뛰어들었다. 2021년부터 미국자동차기술협회 국제 표준인 J2735와 함께 국가표준까지 함께 적용하며 실증의 폭을 넓혔다.
2023년에는 자율주행 대중교통인 판타G버스에 차량 안전 기본 메시지를 적용해 관제 센터와 통신하는 기반 환경 검증에 나서기도 했다. 이어 지난해에는 도 자체 예산을 투입한 지자체 호환성 테스트 사업을 거쳐 교통 신호와 지도 메시지, 관제차량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다른 차량에 공유하는 메시지 등 지역 간 데이터 연계 가능성을 확인했다.
경기도는 메시지 표준에 이어 통신 표준도 확대하기로 했다. 국내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C-ITS) 통신 표준 방식인 ‘LTE-V2X’를 용역을 거쳐 올 하반기 판교제로시티에 전면 적용할 방침이다.
정한규 도 첨단모빌리티산업과장은 “판교제로시티는 자율주행 기술의 표준을 현장에서 구현하는 대표 사례”라며 “자율주행 데이터 국가표준의 정착과 상용화를 선도하며 자율주행 기업들의 기술개발과 인증 대응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