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美 떠나는 과학 인재 잡아라”… 각국 앞다퉈 ‘러브콜’

입력 : 2025-05-15 17:57:03 수정 : 2025-05-15 17:57:03

인쇄 메일 url 공유 - +

트럼프 연구예산 삭감 등 영향
과학자 4명 중 3명 “이주 고려”
中·佛 등 정부 차원 유인책 마련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각종 연구 예산 삭감과 공공 연구소 해체로 미국을 떠나려는 과학 인재들이 급증하면서 세계 각국 정부가 이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유인책을 경쟁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14일(현지시간) “수십년간 미국과 경쟁하기 어려웠던 다른 나라들이 상황을 역전시킬 기회를 잡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 그동안 미국은 세계 최상위급 연구자와 과학자들을 끌어들이는 곳이었다. 어느 분야에서든 연구 예산은 더 많았고, 연구자들에게 주는 급여는 더 높았으며, 연구실 시설과 장비도 더 우수했다. 지난해만 해도 미국은 연구·개발(R&D)에 거의 1조달러(약 1404조원) 예산을 지출했다. 특히 장기적으로 진행되는 기초 연구 분야에 투입된 비용 가운데 정부 지출이 약 40%를 차지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과학 연구소와 대학에 지원하는 수십억 달러의 연방 예산이 삭감되고 연구 대상 분야가 제한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강경한 이민정책으로 외국 출신의 연구자와 유학생들을 내쫓거나 이들의 신규 유입을 막고 있다.

과학전문지 ‘네이처’가 지난 3월 미국의 과학자 1600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4명 중 약 3명이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때문에 미국을 떠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NYT는 이런 분위기를 감지한 미국 이외 주요국의 학계와 연구단체들이 미국에서 유출되는 인재들을 끌어들일 방안을 마련하라고 자국 정부에 촉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1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당국이 재정적·정치적 이유로 귀국을 고민 중인 자국 출신 연구자들을 데려오기 위해 전용 채용 프로그램에 착수했다. 베이징에서 활동하는 한 원로 학자는 이러한 인재 유치 프로그램 중 한 곳이 미국 내 중국인 연구자들에게 “3년간 매년 10만달러(약 1억4000만원)에 이르는 급여를 제공하는 박사후 연구과정 직책을 제안했다고 들었다”고 전했다. 통상 박사후 연구원이 받는 급여의 두 배 수준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특히 양국의 갈등이 깊어지며 중국 출신 과학자들이 미국 당국으로부터 중국 기관과 협력한 전력 등 스파이 조사를 받게 되면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고 SCMP는 전했다.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는 지난 8일 성명에서 “지금은 세기에 한 번 있을 만한 인재 유치 기회”라며 호주 정부에 즉각적인 행동에 나서라고 요구했다. 유럽연합(EU)은 지난 5일 유럽 과학 콘퍼런스에서 ‘유럽을 선택하세요’(Choose Europe)로 명명한 과학연구 종합지원 계획을 내놨다. 2027년까지 연구 지원 예산으로 5억유로(약 8000억원)를 투입한다. 프랑스 정부는 지난달 중순 연구자 유치를 위한 플랫폼 ‘과학을 위해 프랑스를 선택하세요’(Choose France for Science)를 개설했다. 영국 정부도 해외 과학자들의 이주를 지원하기 위해 5000만파운드(약 932억원)를 지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홍주형 특파원 jh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송지효 '바다의 여신'
  • 송지효 '바다의 여신'
  • 김다미 '완벽한 비율'
  •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트리플에스 김유연 '심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