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자진탈당 시 판 흔들려”
“탄핵發 대선정국에 영향無”

6·3 대선을 앞두고 국민의힘 내부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출당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중도층 표심을 위해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을 고민하는 당과 김문수 대선 후보의 부담을 덜어주면서 지지층의 반발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윤 전 대통령이 자진 탈당해 김 후보에게 힘을 실어줄 경우 ‘반명(반이재명) 빅텐트’ 구축이 가능해 대선 정국의 판세를 뒤집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온다. 그러나 윤 전 대통령 탄핵으로 치러지는 선거라는 점에서 그 효과가 제한적일 것이란 시각도 있다.
김문수 후보는 14일 경남 사천 우주항공청을 방문한 뒤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의 탈당 문제에 대해 “대통령의 판단을 존중하는 게 옳다”며 여지를 남겼다.
김 후보가 전날 윤 전 대통령 출당 요구에 “자기가 뽑은 대통령을 탈당시키는 방식으로 책임이 면책될 수도 없고, 도리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던 것과 비교하면 한 발 더 나아간 입장이다.
국민의힘에서는 윤 전 대통령의 당적 문제를 조속히 정리해야만 중도 외연 확장이 가능하다는 판단이 나온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50% 안팎의 지지율을 기록하며 독주 체제를 이어가고 있다는 위기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 지명자는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윤 전 대통령과의 결별 요구에 대해 “당내 구성원, 많은 시민의 생각이 굉장히 다양하다”며 “대부분의 사람이 만족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할 것”이라고 전했다.

정가 안팎에서는 윤 전 대통령의 ‘자진 탈당’이 임박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중도 확장뿐 아니라 보수 결집이 중요한 국민의힘 입장에선 당이 출당을 요구하기에 앞서 윤 전 대통령이 스스로 결단을 내려 당을 떠난 뒤 김 후보를 지원하는 것이 정치적으로나 전략적으로 바람직하다는 주장이다.
우리공화당 조원진 대표는 “윤 전 대통령의 최측근들이 윤 전 대통령을 설득 중”이라며 “오늘쯤 윤석열 대통령의 결단이 나오지 않을까 싶다”고 내다봤다. 보수 성향의 정치 평론가로 윤 전 대통령과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서정욱 변호사도 “빠르면 14일이라도 대통령의 희생적 선제 탈당으로 또 한번 대선판이 휘청거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윤 전 대통령이 “나를 밟고 가라”는 식의 희생적 메시지를 내고 탈당을 선언하면 반명 빅텐트 구성에 탄력이 붙을 것이란 기대감도 감지된다.
조 대표는 “윤 대통령하고의 관계 설정을 윤 대통령 스스로 정리해 나가는 과정들이 모양도 낫다”며 “그렇게 해야 김문수 후보 지지율이 40%대로 올라갈 것”이라고 예측했다.
서 변호사 역시 “‘김 후보 중심으로 대선에서 반드시 승리하라’는 식으로 윤 전 대통령이 결단을 해서 단합이 되면 어느 정도 반명 빅텐트가 가능하다”며 “한동훈계도 선거운동을 안 할 명분이 없고 안 의원도 마찬가지”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런 ‘정치적 결단’이 탄핵으로 치러지는 조기 대선 정국을 뒤집기엔 역부족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장성철 공론센터 소장은 “이재명 후보에게 반감을 갖고 있어서 보수 우파를 찍어야 하는데 윤석열이 있어 못 찍는다고 하는 분들에겐 어느 정도의 효과는 있을 것”이라면서도 “이번 대선 판을 뒤집을 정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규섭 서울대 교수(언론정보학과)도 “윤 전 대통령이 탈당한다고 해도 국민의힘이 윤 전 대통령을 영입해서 대통령을 만들었다는 것 자체가 바뀌는 게 아니어서 현 대세에 영향을 주긴 어려울 것”이라며 “김문수 후보로는 빅텐트 구성이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윤 전 대통령이 이 문제를 스스로 정리하지 않을 경우 출당 등 강제 조치가 필요하다는 강경론도 확산되고 있다. 국민의힘 양향자 공동선대위원장은 “무대에서 끌어내려지기 전에, 박수 받을 때 떠나라는 이야기가 있다”며 “(그렇지 않으면)강제적인 조치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