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심으로 대동단결’ 김길수 후보 강렬한 인상
이번 대선 ‘전과 17건’ 송진호 후보 눈길

역대 대통령 선거에는 다양한 이력과 공약으로 무장한 후보들이 출마했다. 때론 황당무계한 언행으로 비판·조롱의 대상이 되기도 했지만, 이들의 행보를 지켜보는 것은 대선판의 또 다른 묘미 중 하나다.
첫손가락에 꼽히는 화제의 후보는 단연 허경영 후보다. 1997년 15대, 2007년 17대, 2020년 20대 대선에 출마한 허 후보는 자신의 지능지수(IQ)가 430이고 축지법을 구사하며 공중부양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기행으로 ‘허경영 신드롬’을 일으켰다.
‘허본좌’라는 별명까지 생긴 그는 황당 공약으로 주목받았는데, 유엔(UN)본부를 판문점으로 이전하겠다는 게 대표적이다. 그는 각종 현금성 복지정책으로도 이목을 끌었다. 지난 대선에선 18세 이상에게 매월 150만원 기본소득 지급, 연애수당 월 20만원, 노인수당 월 70만원, 출산수당 자녀 1인당 5000만원, 10세까지 월 100만원 육아수당 지급 등을 내걸기도 했다.

다만 그는 지난해 공직선거법상 허위 사실 공표 혐의로 대법원에서 유죄가 확정돼 2034년 4월까지 피선거권이 박탈됐다. 20대 대선 TV 방송 연설에서 “나는 고 이병철 삼성그룹 회장의 양자이고 박정희 전 대통령의 비선 정책보좌역이었다”고 발언했다가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
그는 17대 대선 당시에도 “대통령이 되면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와 결혼하기로 했다”, “조지 부시 대통령 취임 만찬에 한국 대표로 참석했다”고 주장했다가 2008년 징역 1년6개월의 실형이 확정돼 10년간 피선거권이 박탈된 바 있다.
많은 이들이 기억하는 또 다른 후보는 16대 대선에 출마한 김길수 후보다. 그가 대선 포스터에 새겨 넣은 ‘불심으로 대동단결’이라는 문구는 지금까지도 회자할 정도로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김 후보는 선거운동 기간 ‘동안거’(승려들이 음력 10월15일부터 이듬해 1월15일까지 일정한 곳에 머물며 수도하는 일)에 들어가고, TV 토론회에선 “제가 (대통령에) 당선될 리 없다”고 말하는 등 파격적인 행보로 눈길을 끌었다.
그 역시 대선 이후 대통령에 당선되면 국무총리를 시켜주겠다며 대선 등록금과 선거 자금 명목으로 6억원을 받는 등 총 88억원 상당을 받은 혐의로 구속돼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13·15대 대선에 출마한 신정일 후보도 빼놓을 수 없다. 한얼교의 창시자이자 한온그룹 총재를 지낸 신 후보는 비무장지대(DMZ)에 제3의 국가를 만든 뒤 이를 확대해 남북통일을 이루겠단 황당 공약을 걸었다.
14대 대선에 출마한 무소속 김옥선 후보는 ‘무공약이 공약’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웠다. 3선 의원 출신의 김 후보는 남장을 한 여성 정치인으로 유명하다.
시간을 더 거슬러 올라가면 7대 대선에 나섰던 진복기 후보가 언급된다. ‘카이저수염’을 기른 진 후보는 전쟁으로 북진통일을 완수하겠다고 외쳤다. 또 신안 앞바다에 가라앉은 보물을 발굴해 국민을 부자로 만들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는데, 실제로 5년 뒤 해저 유물이 발견돼 화제가 됐다.
이번 21대 대선에선 역대 후보 중 최다 전과를 보유한 후보가 등록을 마쳐 관심이 쏠린다. 주인공은 무소속 송진호 후보다.
송 후보는 무려 17건의 전과 기록을 신고했다. 종류도 사기와 폭력, 상해, 근로기준법 위반, 재물손괴, 부정수표단속법 위반 등 다양하다. 실제로 징역형을 받은 경우도 8차례(집행유예 2차례 포함)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