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내 ‘尹 결별’ 놓고 입장차 보
선거 앞두고 지지·중도층 겨냥
의도적 투트랙 전략 분석 나와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단절 행보를 공식화한 국민의힘이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출당’ 조치를 두고 고심하는 모습을 연출하고 있다.
국민의힘 김용태 신임 비상대책위원장 내정자는 13일 “윤 전 대통령의 거취를 논의 중”이라며 출당 조치 가능성을 시사했으나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는 “탈당은 본인(윤 전 대통령)의 뜻”이라며 온도차를 보인 것인데, 기존 지지층과 중도층 모두를 겨냥하기 위한 ‘투트랙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김 내정자는 이날 SBS 라디오에 출연해 ‘윤 전 대통령 부부와의 절연이 가능하겠느냐’는 질문에 “대통령께서는 본인 재판에 집중하실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저희 당은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그 지점에서 여러 가지를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과의 명확한 선 긋기를 통해 사실상 출당 조치도 강행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김 내정자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서도 “후보님뿐 아니라 선거대책위원장분들하고도 입장을 계속 조율해 나가고 있다”며 “대통령은 재판에 집중하실 수 있게끔 당이 여건을 만들어 드려야 한다는 말에는 컨센서스가 모아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반면 강경 탄핵 반대 입장을 고수해 왔던 김 후보는 여전히 미온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전날 12·3 비상계엄에 대한 첫 공식 사과 입장을 밝히며 윤 전 대통령과의 절연 행보에 동조하는 기미를 보였으나 이날 출당론에 대해서는 거부감을 드러낸 것이다.
김 후보는 대구·경북 선대위 출정식 후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출당 조치에 대해 “현재로써는 생각해 본 적 없다”고 답했다. 김 후보는 “대통령께서 탈당하느냐 안 하느냐는 본인의 뜻”이라며 “대통령을 탈당시키는 방식으로 (당의) 책임이 면책될 수 없고, 그렇게 하는 것은 도리도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다만 당내에서는 대선을 3주 정도 남겨 두고 있어 윤 전 대통령과의 ‘결별’이 시간문제인 상황에서 이 같은 입장차를 의도적인 투트랙 전략으로 해석한다. 국민의힘 선대위 핵심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과의 단절 없이는 선거를 치르는 게 무의미한 상황”이라며 “두 갈래에서 시작해 이견을 좁혀가며 수일 내 김 후보 입장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여전히 선대위에 합류하지 않은 한동훈 전 대표의 출당 압박도 계속되고 있다. 한 전 대표는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이길 수 있는 길은 분명하다”며 “불법 계엄 방관과 탄핵 반대에 대해 사과하고, 윤 전 대통령 출당으로 윤 전 대통령 부부와 당을 절연하고, 자유통일당 등 극단주의자들을 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친한동훈계 6선 조경태 의원도 부산선대위 출정식에서 “윤 전 대통령을 지금 당장 출당시키는 것이 맞다”며 “대선 승리를 위해서 결단해야 한다”고 김 후보를 겨냥했다.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출당 조치는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때와 마찬가지로 ‘탈당 권유’ 징계 결정을 통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국민의힘의 전신인 당시 자유한국당은 파면당한 박 전 대통령에 대해 ‘해당행위’와 ‘민심이탈’을 사유로 탈당 권유 징계를 내렸다. 박 전 대통령은 탈당을 거부했고, 결국 당시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직권으로 강제 출당 조치를 내렸다. 국민의힘 당규에 따르면 탈당 권유를 받은 뒤 10일 이내 탈당하지 않을 경우 10일 뒤 최고위(현재 비대위) 의결을 거쳐 자동 제명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