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D ‘전계발광 퀀텀닷’ 업계 주목
혈류량 측정하는 디스플레이 실물 전시도
LGD, 콘셉트카에 차량용 ‘풀라인업’ 적용
업계 최대 밝기 ‘4세대 OLED’ 패널 소개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 양대 산맥인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13∼15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행사 ‘SID 2025’에 참가해 차세대 혁신 기술을 대거 선보인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는 SID 2025에서 ‘궁극의 퀀텀닷’ 디스플레이로 불리는 전계발광 퀀텀닷(EL-QD)를 전면에 내세웠다.

EL-QD는 차세대 ‘무기발광’ 기술이 집약됐다. 현재 상용화된 퀀텀닷(QD)-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OLED에서 나온 빛이 QD 발광층을 통과하며 색을 만들어내는 광발광(PL) 방식인데, EL-QD는 OLED 없이도 전기신호가 직접 QD로 구성된 적·녹·청(RGB) 픽셀을 구현한다. 이를 통해 QD 특유의 장점인 뛰어난 ‘색 정확도’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전력 소비도 줄일 수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금까지 공개된 EL-QD 중 최고 밝기를 지닌 400니트(nit, 1니트는 촛불 한 개의 밝기) 고휘도 제품과 264PPI(1인치당 픽셀 수) 고해상도 제품 등 두 가지를 선보인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초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소개된 ‘센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기술도 이번에 실물로 전시한다. 센서 OLED 디스플레이는 특정 부분이 아닌 화면 전체에서 지문을 인식하고, 빛으로 혈류량을 측정해 심혈관 건강 상태까지 확인할 수 있는 삼성디스플레이의 독자 기술이다.
LG디스플레이는 대형·중형·차량용을 아우르는 OLED 풀라인업을 공개한다. 전시장 내 콘셉트카 앞좌석 대시보드엔 LG디스플레이가 업계 최초로 상용화한 필러투필러(P2P)가 초대형 57인치 크기로 탑재됐고, 뒷좌석엔 엔터테인먼트용 ‘18인치 슬라이더블 OLED’가 적용됐다.

기존에 물리적 버튼이 있는 차량 센터페시아(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있는 컨트롤 패널 부분)은 ‘차량용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가 적용됐다. 화면부터 버튼까지 하나의 휘어진 화면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고, 손으로 화면을 만지면 평평했던 화면이 터치형 버튼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다.
전시 부스 내 대형 OLED 존에선 4세대 OLED 패널을 소개한다. 4세대 OLED 패널은 RGB 소자를 독립적으로 쌓아 빛을 내는 독자기술인 ‘프라이머리 RGB 탠덤’ 구조가 적용되면서 업계 최고 수준인 최대 휘도 4000니트를 달성했다. 또 어떠한 환경에서도 자연 그대로의 색과 밝기를 표현하도록 특수 필름을 자체 개발 및 적용해 밝은 실내 공간에서도 어두운 영화관에서 보는 것처럼 선명한 색과 완벽한 블랙을 구현한다는 게 LG디스플레이의 설명이다. LG디스플레이는 4세대 OLED 패널로 AI TV부터 게이밍 OLED 등 프리미엄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