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국힘은 아직도 ‘尹 망령’의 인질
尹은 신속히 거취 결단하는 게 도리

국민의힘과 김문수 대선 후보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절연을 통해 보수 활로를 찾아야 한다. 김 후보는 어제 윤 전 대통령 출당론에 대해 “탈당하느냐, 안 하느냐 하는 것은 본인의 뜻”, “자기가 뽑은 대통령을 탈당시키는 방식은 도리도 아니다”는 식으로 거부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12·3 비상계엄 사태를 야기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국민 인식과는 동떨어진 참으로 안일한 판단이다.
김 후보는 12·3 비상계엄 사태에 대한 대국민 사과에도 어정쩡한 자세를 보이고 있다. 김 후보가 그제 방송 인터뷰에서 “계엄으로 인한 고통을 겪고 있는 국민께 진심으로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했다. 이것을 계엄에 대한 첫 사과로 평가하기엔 형식에서나 내용에서나 너무나 미흡하다. 당장 김 후보 측에서는 “계엄 자체에 대한 사과가 아닌, 정치인의 한 사람으로서 불편을 겪은 국민에게 사과한 것”이라고 ‘계엄 사과’와는 선을 그었다. 그제 서울중앙지법의 윤 전 대통령 내란 우두머리 혐의 3차 공판에서는 국회 진입 계엄군에 대한 총기 발포 지시, 1차 계엄 실패에 따른 2차·3차 계엄 시사와 같은 중대한 증언이 다시 확인됐다. 이런데도 국민의힘과 김 후보는 국헌·국법을 능멸하고 자유민주주의 가치를 훼손한 윤 전 대통령의 망령에 발목 잡혀 반탄(탄핵반대)을 고수하고 있다.
계엄에 부정적인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 지명자가 “탄핵의 강도 넘어야 한다”며 “국민 상식에 부합하는 메시지를 김 후보 입으로 말씀드릴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한 것에 실낱같은 기대를 건다. 김 후보는 공식 입장을 통해 계엄과 반탄에 대해 국민에게 정식으로 사과하고, 윤 전 대통령과 연을 끊는 결단을 내려야 한다. 그래야 다수 국민이 납득할 수 있다.
계엄을 일으켜 대통령직에서 파면당한 윤 전 대통령도 내란죄 피고로서 거취와 관련해 당을 위해 어떤 결정을 내리는 것이 당원으로서의 마지막 도리인지 스스로 판단하기 바란다. 지지율 선두인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소수 극우, 내란 지지 세력을 제외한 누구와도 손을 잡겠다는 기세로 외연을 확장 중이다. 계엄반대·찬탄(탄핵찬성) 기조를 유지해온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는 국민의힘 대안 세력으로 빠르게 세력을 넓혀가고 있다. 국민의힘과 윤 전 대통령의 절연은 단순히 반명(반이재명) 빅텐트를 겨냥한 대선 전략 차원을 넘어 6·3 대선 이후 정통 보수정당 재건의 출발점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