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기후정치바람 “우리 국민 2명 중 1명은 기후시민”

입력 : 2025-05-08 10:44:47 수정 : 2025-05-08 10:44:46

인쇄 메일 url 공유 - +

기후정치바람, 시민 4482명 조사결과 발표
“시민의 삶은 훨씬 앞으로 나가 있어
정치가 거기에 못 따라가는 중”

우리 국민 2명 중 1명은 ‘기후시민’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전국 18세 이상 시민 4482명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개개 기후 문제에 대한 입장을 묻는 6개 질문에 모두 긍정적 답변을 한 집단을 ‘기후시민’이라 정의했다.

 

기후단체 ‘기후정치바람’은 7일 서울 FKI타워 콘퍼런스센터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기후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지난 4월7∼30일 온라인패널에 이메일·문자로 웹 설문 링크를 보내 진행했다. 기후정치바람은 녹색전환연구소·더가능연구소·로컬에너지랩이 소속된 프로젝트 그룹이다.

 

기후정치바람 측이 지난 7일 서울 FKI타워 콘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집담회에서 각 대선후보 캠프 관계자에게 시민 1580명의 기후 질문을 전달하고 있다. 기후정치바람 제공

조사결과에 따르면 ▲기후위기는 인간활동의 산물이다 ▲시급히 탄소중립을 달성해야 한다 ▲나는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해 장바구니, 텀블러, 수건을 가지고 다닌다 ▲탄소배출감축을 위해 쓰레기양을 줄이려고 노력한다 ▲다음 정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 ▲한국정부가 국제사회에 약속한 2030 NDC는 지켜야 한다 등 총 6개 질문에 긍정적 답변을 한 비율이 50.9%로 집계됐다. 기후정치바람은 이들을 ‘기후시민’이라 정의했다. 

 

이런 기후시민 비율은 모든 연령층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남성 중에는 60대 남성(55.5%)에서만 전체 평균 이상 비중을 보였다. 기후시민 비중이 가장 낮은 성·연령 집단은 30대 남성으로 38.3%에 그쳤다. 이어 18∼29세 남성이 38.8%였다. 

 

지역별로 보면 인천·대구·경북·전남·전북의 기후시민 비중이 전국 평균(50.9%)보다 높았다. 기후정치바람은 이들 지역 기후시민 비중이 높은 데 대해 정책과 산불 영향이 있을 것이라 추정했다. 이들은 “인천시민의 경우 10년 넘게 수도권매립지 종료 계획과 이를 둘러싼 갈등을 경험했고, 전남·전북 시민들은 햇빛, 해상풍력 발전 등 에너지 전환 경험을 축적해온 결과”라고 봤다. 대구·경북에 대해서는 “3월22일부터 30일까지 경북 의성에서 시작한 대형 산불이 발생했는데, 본 조사는 산불 직후 시점이었다”고 평가했다. 

 

서복경 더가능연구소 대표가 지난 7일 서울 FKI타워 콘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집담회에서 기후인식조사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기후정치바람 제공

이날 발표를 맡은 서복경 더가능연구소 대표는 “기후 문제에 있어 시민의 삶은 훨씬 앞으로 나아가 있는데 정치가 거기 못 따라가고 있다”며 “우리 정치는 기후 문제를 쟁점화해본 적이 없다. (기후인식조사의 의의는) 정책 의제를 먼저 준비해서 물어보고 시민들의 동의 여부를 물어보는 것이다. 정치가 앞으로 이 문제를 논의할 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실제 개개 기후 정책에 대한 설문결과도 이날 제시했다. 여기에 따르면 ‘향후 출범할 정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는 질문에 62.3%가 ‘그렇다’고 답했다. ‘다음 정부가 기후대응 부서를 부총리급으로 둬야 한다’엔 57%가 동의가했다.

 

전력 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우선순위 정책에 대한 질문에는 58.8%가 ‘재생에너지 확대’를 택했다. 이어 ‘원자력발전 확대’ 24.8%, ‘석탄발전 감축’ 10.1%순이었다. 

 

이유진 녹석전환연구소 소장이 지난 7일 서울 FKI타워 콘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집담회에서 기후인식조사 중 기후 정책 관련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기후정치바람 제공

에너지 전환을 위해 전기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단 주장에 대한 찬반을 묻는 질문엔 54.8%가 ‘찬성한다’고 답했다. ‘반대한다’는 37.9%, ‘잘 모르겠다’ 7.4%였다. 찬성한다고 답한 이들에게 전기요금 인상 규모를 물었을 땐 53.5%가 ‘현재의 10% 정도’라 답했다. 

 

기후대응 재원 마련 방안으로 탄소배출량에 비례해 세금을 부과하는 탄소세 도입이 필요하단 주장에 대해선 찬성이 71.2%나 됐다. 반대는 19.3%에 그쳤다.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소장은 이와 관련해 “이번 조사 결과 시민들은 탄소중립을 위한 산업·에너지·건물·수송 전반에 대한 정책 지지도가 높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며 “시민들은 기후대응에 있어 정부와 공동체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믿음이 있다. 기후대응 없이는 재건이나 회복이 없다는 기조 아래 움직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승환 기자 hwa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