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서울은 어떻게든 사고 싶고, 지방은 아무도 안 산다”

입력 : 2025-05-08 09:35:29 수정 : 2025-05-08 09:35:28

인쇄 메일 url 공유 - +

청약 경쟁률 151대 1 vs 미달 속출… 새 아파트도 지역 따라 명암 갈린다
‘할인 분양’ 내건 지방 아파트 단지. 미분양 물량이 쌓이면서 분양가를 낮춰도 수요자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뉴시스

 

“분양이요? 지역에선 말도 꺼내기 힘들어요. 우리 단지는 2순위까지도 청약자가 안 찼거든요”

 

경북 포항의 한 중소건설사 관계자 A씨는 올해 초 선보인 아파트 청약 결과를 이렇게 말했다. 견본주택을 열긴 했지만 방문객이 하루 열 명도 안 되는 날도 많았고, 분양 성적도 초라했다. 반면 서울의 일부 인기 단지는 여전히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하며 분양시장의 양극화를 보여주고 있다.

 

올해 들어 분양시장은 전반적으로 ‘한파’다. 경기 침체와 지방 미분양 증가, 여기에 건설사들의 자금줄인 PF(Project Financing) 부실까지 겹치며 분양 일정이 줄줄이 미뤄지고 있다.

 

8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1~4월 전국에서 민간이 공급한 아파트 일반분양 물량은 총 1만8020가구에 불과하다. 이는 같은 기간 작년(4만7399가구)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일반분양은 청약을 통해 무주택자·1주택자 등에게 공급되는 주택 물량을 뜻한다. 통상 일반인이 청약으로 도전할 수 있는 ‘주택시장 입구’로 여겨진다.

 

청약 결과도 부진했다. 전국 43개 민간 분양 단지 가운데 1순위 마감에 성공한 곳은 17곳(약 40%)뿐, 절반 가까운 21곳은 2순위에서도 미달 사태를 겪었다.

 

반면 서울은 여전히 ‘광클 경쟁’이다. 지난 2월 서울 서초구에서 분양된 래미안 원페를라는 1순위 청약에서 151.6대 1의 평균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역 부동산시장에서는 “이 정도면 사실상 로또”라는 말까지 나온다.

 

이처럼 서울·수도권 일부에만 청약 수요가 몰리는 현상은 점점 더 뚜렷해지고 있다. 이유는 명확하다. 수도권 인기 단지는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시세 대비 저렴한 ‘시세차익’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반면 지방은 분양가도 높고, 입주 이후 집값이 오를 가능성이 크지 않아 수요자들이 외면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정치적 변수도 분양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대통령 탄핵과 조기 대선이 겹치며 5월 예정됐던 분양 일정이 속속 6월 이후로 연기되고 있다.

 

쌍용건설의 부산 동래구, 현대산업개발의 안양 박달동 재건축 단지 등은 일정을 미뤘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선거 기간에는 홍보 자체가 어렵고, 청약자들도 불확실성 때문에 지원을 망설인다”고 말했다.

 

건설사들은 대선이 끝난 6월부터 분양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6월 일반분양 예정 물량은 약 1만9천400가구다. 여기에 이월된 5월 물량까지 더하면 다소 숨통이 트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그러나 업계는 연간 실적은 작년보다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지난해에도 전국 일반분양 물량은 16만 가구에 그쳤고, 올해는 그보다 더 적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부동산R114 윤지해 리서치랩장은 “지방 시장이 회복되지 않는 한 분양 감소는 불가피하다”며 “신축 공급이 줄면서 새 아파트 선호와 청약 쏠림 현상은 더욱 심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다미 '완벽한 비율'
  • 김다미 '완벽한 비율'
  •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트리플에스 김유연 '심쿵'
  • 트리플에스 윤서연 '청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