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후보 존중해 따른다” 합의
金, 비대위 해체 카드 시사하자
김기현 “대통령도 권한 없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당 지도부와 단일화 문제로 부딪히면서 내세우고 있는 ‘당무우선권’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김 후보는 자신이 후보로 선출된 이후 당무우선권을 침해당하고 있다고 주장했지만, 당 지도부는 “당무우선권이 만능은 아니다”라는 입장이다. 20대 대선 당시 윤석열 후보와 이준석 대표 역시 당무우선권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은 바 있다.

7일 국민의힘 당헌 74조에 따르면 대통령 후보자는 선출된 날로부터 대통령 선거일까지 선거업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필요한 범위 내에서 당무 전반에 관한 모든 권한을 우선해 가진다. 문제는 ‘선거업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필요한 범위’의 해석이 자의적이라는 점이다. 김 후보는 전날 당무우선권을 발동하겠다며 단일화 관련 전 당원 여론조사 중단 등을 요구했지만, 당 지도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이날 YTN 라디오에서 “(당이 대선) 후보의 입장을 존중한다는 것이 당무우선권”이라며 “모든 일에 대해 (후보가) 마음대로 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김 후보는 지도부가 단일화 협상을 압박하고 당 사무총장 교체가 불발된 점 등을 당무우선권 침해 사례로 들었다. 앞서 김 후보는 후보 당선 이후 사무총장에 장동혁 의원 등을 임명하는 인선을 발표했지만, 장 의원은 사흘 만에 직을 고사했다. 이후 김 후보는 당무우선권이 침해됐다고 반발했다.
3년 전 당시 윤석열 대선 후보와 이준석 대표 역시 당 실무를 총괄하는 핵심 당직인 사무총장 임명에서 당무우선권 문제로 충돌했다. 윤 후보와 이 대표는 이른바 ‘울산 회동’으로 극적으로 갈등을 봉합하면서 당무우선권에 대해 ‘후보자는 선거에 있어 필요한 사무에 관해 당대표에 요청하고, 당대표는 후보자의 의사를 존중해 따르는 것’으로 해석하는 데 합의했다.

김 후보는 당무우선권을 활용한 ‘비대위 해체’ 카드를 시사하기도 했다. 그는 전날 ‘당무 우선권은 대선 후보의 전권 행사로, 김 후보는 현재의 비상대책위 해체 권한도 있다’는 내용의 홍준표 전 대구시장 인터뷰 기사를 올렸다. 이에 대해 김기현 의원은 이날 SBS라디오에서 “심지어 대통령도 비대위를 해체할 권한이 없다”면서 홍 전 시장을 향해 “당헌·당규 해석을 그렇게 무지막지하게 하는 분은 처음 봤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