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흑인∙아랍인∙아시아인 교황 가능성은…가톨릭 개혁·보수 갈림길 [뉴스+]

, 이슈팀

입력 : 2025-05-07 21:00:00 수정 : 2025-05-07 21:36:13

인쇄 메일 url 공유 - +

이탈리아 출신이 81.6%, 455년 간 재임
투표권 있는 유럽 외 출신 추기경 증가세
가톨릭 교회, 개혁 or 보수 방향 분수령

새 교황을 선출하는 추기경단 비밀회의인 ‘콘클라베’가 7일(현지시간) 시작됐다.

 

콘클라베에 참여한 추기경들의 출신지는 2025년 기준 유럽(52명)이 전체(133명)의 39.1%로 가장 많지만, 유럽 출신이 꼭 교황의 자리에 오르는 건 아니다. 전임 프란치스코 교황은 남미 출신이었다.

 

새 교황을 선출하는 콘클라베에 참여하는 추기경들. AP연합뉴스

역대 교황을 보면, 출신지와 성향은 달라도 보통의 백인 남성 외모를 지녔다는 공통점은 있다. 역대 교황 중엔 북아프리카 출신이 로마 제국 시절(기원전 27년∼1453년)에 3명 있었지만 인종적으로 아프리카계는 아니었던 걸로 추정된다. 가톨릭 도입 역사가 짧은 아시아계 교황도 한 명도 없었다.

 

그런데 이번 콘클라베를 앞두고 루이스 안토니오 타글레 추기경(필리핀)과 유흥식 라자로 추기경(한국) 등 아시아계 추기경도 후보로 언급되면서 미래에 아시아계 교황의 등장을 기대하는 사람들도 있다.

 

당장은 어렵더라도 그러한 변화 여부를 이번 콘클라베 결과를 토대로 짐작해볼 수 있다. 가톨릭계가 프란치스코 전임 교황의 개혁 성향을 이어갈지, 아니면 보수 가치를 강화해갈지가 중요한 갈림길이다.

 

지난달 20일(현지시간)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 AP통신

◆프란치스코, 다양한 출신 추기경 임명

 

이번 콘클라베에는 5개 대륙 70개국에서 80세 미만 추기경 133명(전체 추기경은 252명)이 참여한다. 투표권을 가진 추기경은 135명이지만 스페인과 케냐 추기경은 건강상 이유로 불참했다.

 

프란치스코 교황 재임 기간 전 세계 추기경의 국적은 다양해졌다. 절대 다수는 유럽 출신이지만, 유럽 추기경일수록 투표권이 없는 고령자가 많다. 그만큼 프란치스코 교황 시절 다양한 지역의 젊은 추기경이 임명됐음을 의미한다.

 

바티칸 홈페이지에 따르면 133명 중 유럽 출신은 52명, 아시아 23명, 중남미 21명, 아프리카 17명, 북미 16명, 오세아니아 4명이다. 바티칸은 중동 아랍지역도 ‘아시아’로 분류했다.

 

교황청 성직자부 장관 유흥식 라자로 추기경. 세계일보 자료사진 

유럽의 경우 전체 추기경 114명 중 투표권자는 52명(불참자 제외, 45.6%)이지만, 아시아는 전체 37명 중 23명(62.1%)이 투표에 참여한다. 그만큼 아시아 추기경의 평균 연령이 낮은 것이다. 오세아니아의 경우 4명 전원이 투표권자다.

 

추기경 명단을 보면 아랍국가인 이란과 이라크 출신이 1명씩 있고, 공산주의 국가인 쿠바 출신도 1명 있다. 이들 3명 모두 프란치스코 교황이 임명했다. 동북아 국가 중에는 한국이 유일하다. 현재 중국과 일본 출신 추기경은 없다. 

 

◆이탈리아∙프랑스∙미국 물밑 각축전 

 

새 교황 선출을 앞두고 강대국들의 물밑 경쟁도 펼쳐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전통 강호’인 이탈리아가 교황 자리를 되찾기 위해 전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지막 이탈리아 출신 교황은 1978년 즉위한 요한 바오로 1세(1912∼1978)다. 그러나 요한 바오로 1세는 즉위 33일 만에 심장마비로 갑작스럽게 선종해 역대 가장 짧은 재위 기간을 기록했다. 65세의 나이였다. 이탈리아는 역대 교황의 81.6%인 217명을 배출하며 455년 간 교황 자리를 차지했다.

 

루이스 안토니오 타글레 추기경(왼쪽)과 피터 코도 아피아 턱슨 추기경. AP연합뉴스

이어 프랑스(16명), 독일(7명), 스페인(3명)에서 여러명의 교황이 나왔고 그 외에는 폴란드, 포르투갈, 네덜란드, 아르헨티나 등에서 1명씩 나왔다.

 

이 중 프랑스는 14세기 인물인 그레고리우스 11세(1370∼1378) 이후 교황을 내지 못했다. 프랑스는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최근 일부 추기경을 만나 “프랑스인 교황이 나와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교황 복장을 한 인공지능(AI) 합성 이미지. 백악관X 캡처

◆‘3분 비전 발표’ 표심에 큰 영향 

 

프란치스코 교황과 건건이 충돌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내가 교황이 되고 싶다”고 농담을 던진 뒤,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인 트루스 소셜에 인공지능(AI)으로 생성한 교황 사진을 올렸다. 본인이 교황 복장을 한 사진이었다. 또 “뉴욕 추기경이 훌륭하다”고 말하며 보수 성향 미국인 교황이 나오기를 바라는 심리를 내비쳤다.

 

콘클라베는 철저히 비밀에 부쳐진다. 이에 앞서 전 세계에서 온 추기경들은 지난 2주 간 거의 매일 추기경 총회를 열고 가톨릭 교회가 직면한 과제와 새 교황에게 필요한 자질을 논의했다.

 

이 총회에서 추기경들은 ‘3분 발언’을 통해 각자의 비전을 공유하는데, 이 발언이 표심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 콘클라베에서도 유력 후보군이 아니었던 프란치스코 교황이 심금을 울리는 ‘3분 발언’으로 반전을 일으켰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현미 기자 engin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