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빈손으로 끝난 김·한 담판, 후보 단일화 더 꼬였다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25-05-08 00:16:39 수정 : 2025-05-08 09:15:50

인쇄 메일 url 공유 - +

金·韓, 단일화 시한 놓고 샅바싸움
가치·비전 빠진 권력 싸움 그치면
누가 후보 돼도 국민 마음 못 얻어
김문수-한덕수 대선 단일화 위한 회동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왼쪽)와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가 7일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후보 단일화 관련 회동을 하기 전 악수하고 있다. 2025.5.7 [공동취재] hkmpooh@yna.co.kr/2025-05-07 18:21:27/ <저작권자 ⓒ 1980-2025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예비후보가 어제 80분간 단일화 회동을 가졌지만, 합의 없이 결렬됐다. 보수 진영 ‘빅텐트’ 논의가 첫걸음부터 난기류에 휩싸인 셈이다. 한 후보는 회동 직전 입장 발표를 통해 “(11일까지)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대선 본후보 등록을 하지 않겠다”며 배수진을 쳤지만 김 후보는 한 후보의 통첩을 사실상 무시했다. 김 후보의 김재원 비서실장은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황우여 전 대선 경선 선거관리위원장을 만나 회동 결렬을 전제로 ‘여론조사 단일화’ 절차를 준비해달라고 요청했다고 폭로했다. 김·한 후보는 오늘 다시 추가회동을 갖기로 했지만, 타결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관측이다.

 

김 후보는 대선 후보 등록일(10∼11일) 이전에 단일화를 이루려는 당 지도부 압박에 반발하고 있다. 당 지도부 주도의 조기 단일화 대신 자신 주도의 단일화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자 어제 회동 결렬 직후 권성동 원내대표는 “김후보가 결단해 달라”며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한 후보도 단일화 회동 직전 일방적으로 단일화 시한을 던지고 회동 내내 ‘11일 전 단일화’ 입장만 반복했다. 대선을 20여일 앞둔 정당의 모습이라면 누가 믿겠나.

 

공당의 경선 절차를 거쳐 선출된 후보가 당 밖의 주자와 단일화를 하는 것은 선진 민주국가에선 보기 힘든 한국적 관행이다. 제대로 된 정당 민주주의는 아니다. 하지만 정당은 선거를 통해 정치권력을 획득해야 가치와 정책을 실현할 수 있다. 선거 승리를 위한 단일화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다만, 단일화 효과가 있으려면 그 과정에서 감동을 주고 미래 지향적인 비전을 보여야 한다. 지금 보수의 후보 단일화 과정은 그 반대의 길을 가고 있다.

 

최근 공개된 단일화 적합도 조사(리서치앤리서치)에서 국민의힘 지지층과 중도층은 한 후보(46%)를 김 후보(25.8%)보다 더 선호한 것으로 집계됐다. 당 지도부는 당원 설문 결과를 단일화 불쏘시개로 활용하려 한다. 후보 교체론도 나온다. 김 후보로선 불만이겠지만 당의 압박은 경선 기간 ‘김덕수(김문수+한덕수)’를 외쳤던 본인이 자초한 일이다. 이 와중에 경선에서 탈락한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용산과 당 지도부가 합작해 느닷없이 한덕수를 띄우며 탄핵 대선을 윤석열 재신임 투표로 몰고 가려고 했다”며 ‘윤석열 개입 의혹’을 제기했다. 점입가경이다. 이런 식으로는 누가 국민의힘 후보가 돼도 대선은 해보나 마나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김다미 '깜찍한 볼하트'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