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경제의 대기업 집중 현상 심화
지난해 우리나라 대기업 집단의 매출이 우리나라 경제 규모의 80% 수준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대 그룹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40%에 달했다.

6일 공정거래위원회 등에 따르면 최근 공정위가 지정한 공시대상기업집단(대기업·자산 5조원 이상) 92곳이 지난해 올린 매출은 2007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해 명목 국내총생산(GDP) 2549조1000억원의 78.8%에 달하는 규모다. 이 가운데 ‘상위 대기업’이라고 불리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자산 11조6000억원 이상) 46곳이 올린 매출액은 1833조1000억원으로 GDP 대비 71.9% 수준이다.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은 대기업 중 자산 기준으로 상위 50%이고 매출은 91.3%를 차지했다. 대기업에서도 상위 업체들의 집중도가 압도적이라는 뜻이다.
재계 1위인 삼성그룹의 지난해 매출액은 공정위 기준으로 331조8000억원이다. 삼성 한 곳의 매출이 우리나라 GDP의 13.0%에 달한다는 뜻이다. 다음은 현대자동차그룹(279조8000억원·11.0%), SK(205조9000억원·8.1%) 순이었다.
삼성·SK·현대자동차·LG·롯데 등 상위 5대 그룹의 매출액은 1025조원으로 지난해 한국 경제 생산의 약 40%에 달했다. 그만큼 우리 경제의 대기업 집중 현상이 심각하다는 의미다.
GDP 대비 대기업집단 매출액 비중은 2018년 70.9%에서 2019년 68.7%, 2020년 65.3%로 점차 떨어졌다. 그러다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계기로 상황이 달라졌다. 위기 대응력이 높은 대기업들의 매출이 크게 상승하면서 이 비율은 2021년 73.5%, 2022년 85.2%까지 뛰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