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여기 싱크홀 생길 것 같아요!” …강동구 사고 후 의심신고 2배

입력 : 2025-05-06 20:30:15 수정 : 2025-05-06 22:02:53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서울시 하루 평균 50여건 접수
실제 발생 2건… 대다수는 오인
“市 안전지도 비공개 불안 키워”

지난 3월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발생한 대형 땅꺼짐(싱크홀) 사고로 1명이 숨진 이후 지반침하 의심 신고가 평소의 2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대부분은 싱크홀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신고였다.

6일 서울시가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명일동 싱크홀 사고가 발생한 다음 날인 3월25일부터 4월22일까지 시에 접수된 싱크홀·포트홀·지반침하 관련 신고는 1450건에 달했다. 시가 응답소 민원분석시스템을 이용해 추린 결과로, 하루 평균 의심 신고가 50건씩 들어온 셈이다.

지난 3월 25일 강동구 대명초등학교 도로에서 전날 발생한 대형 땅꺼짐 현장에 소방의 출입통제 라인이 설치돼 있다. 연합뉴스

올해 1월1일부터 사고 당일인 3월 24일까지 83일 동안 접수된 신고는 1857건이었다. 이 기간 신고 건수는 하루 평균 22.4건 수준이었으나, 명일동 싱크홀 사고 이후 신고 건수가 2배 이상 급증한 것이다.

다만 신고 중에서는 포트홀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민원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시 측은 명일동 사고 이후 전체적 신고가 늘어난 것은 사실이나, 지반침하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신고도 다수 섞여 있었던 것으로 봤다.

시민 불안이 늘어나면서 단순 포트홀(도로 파임) 등도 지반침하로 오인하는 등 시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진 결과라는 분석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3월24일부터 4월17일까지 접수된 지반침하 관련 신고 건수는 713건에 달했으며, 이 중 실제 지반침하로 확인된 사례는 2건이었다. 나머지 711건은 오인 신고였다.

서울시가 지반침하 안전지도(우선정비구역도)를 공개하지 않은 것도 시민 불안을 키운 요인 중 하나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시는 지난달 말부터 지표투과레이더(GPR) 특별점검 결과를 시의 모든 재난·안전 정보를 제공하는 ‘서울안전누리’ 누리집에 공개하기 시작했다. 다음달부터는 누리집에 위치정보 기반으로 한 ‘안전정보지도’에 기능을 추가한 ‘GPR탐사지도’ 카테고리를 신설하고, 특별점검 결과를 반영해 서비스할 예정이다.

박 의원은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한 지반침하 위험지도 조사 결과 등을 정부와 국회에 공개하도록 지하안전관리법을 개정하겠다”고 말했다.


이병훈 기자 bhoo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