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클릭 한 번에 집 앞까지 딱!"… 10가구 중 7가구 ‘이곳’에서 쇼핑 [수민이가 궁금해요]

입력 : 2025-05-06 15:19:21 수정 : 2025-05-06 15:19:20

인쇄 메일 url 공유 - +

온라인으로 가공식품을 구매하는 가구가 10가구 중 7가구로 조사됐다. 1년 전보다 2가구 늘었다. 가구주가 20·30세대인 경우 온라인으로 가공식품을 구매하는 가구가 10가구 중 9가구를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온라인으로 가공식품을 구매하는 가구가 10가구 중 7가구로 조사됐다. 쿠팡 제공

6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24년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 조사’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온라인으로 가공식품을 산 가구는 72.3%로 비중이 1년 전(57.8%)보다 14.5%포인트(p) 높아졌다.

 

‘식품군에 상관없이 온라인으로 구매할 때도 있고, 오프라인으로 구매할 때도 있다’고 답한 비율은 46.6%로 조사됐다. ‘온라인으로 전혀 구입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27.7%로 1년 전(42.2)보다 낮아졌다. 가구주의 연령대가 20·30대인 가구는 온라인으로 가공식품을 사는 가구가 각각90.3%, 96.2%로 집계됐다.

 

온라인으로 가공식품을 구입하는 빈도도 전년보다 잦아졌다. 주 1회 이상 온라인에서 가공식품을 사는 가구는 지난 2019년 16.4%에서 작년 37.8%로 높아졌다.

 

‘주 2∼3회’ 산다는 비중은 전년 2.0%에서 10.7%로, ‘주 1회’ 구입하는 비중도 16.4%에서 26.5%로 각각 커졌다.

 

반면 ‘2주 1회’는 38.8%에서 31.2%로, ‘월 1회’는 29.4%에서 21.9%로 각각 낮아졌다.

 

가공식품을 살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준을 보면 맛(26.9%)이 1위이고 가격(19.2%), 품질(15.7%), 안전·신선도(11.8%) 순이다.

 

연구원은 “안전성과 신선도, 구입·조리 편리성을 우선 고려하는 비중은 1년 전보다 높아졌고 맛과 가격, 품질, 영양을 우선 고려하는 비중은 작아졌다”며 “가구원수가 적으면 맛과 구매의 편리성을 중시하고, 소득이 적은 가구는 가격을, 소득이 많은 가구는 신선도를 각각 중시하는 비중이 높았다”고 분석했다.

 

특히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가격을 우선 고려하는 비중이 12.8%에서 19.2%로 높아졌다.

 

가정간편식(HMR)을 구입한 적이 있는 가구도 전년(67.3%)보다 늘어난 77.9%로 집계됐다.

 

가장 많이 구입한 간편식은 ‘만두·피자류’(94.8%)이고, ‘즉석밥’(89.7%), ‘소스·양념류’(88.9%), ‘즉석국류’(87.5%), ‘즉석 떡볶이·면류’(86.9%)가 뒤를 이었다.

 

쿠팡 베송 차량. 연합뉴스

연구원은 “간편식 가운데 구입 경험률이 높으면서 구입이 늘어난 품목은 '만두·피자류'와 '즉석밥류', '즉석 국류'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간편식에 대한 만족도는 5점 만점에 3.69점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이 간편식에 대체로 만족하고 있다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간편식은 편리성(4.05점)과 다양성(3.91점)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지만 가격(3.23점) 만족도는 낮았다.

 

한편 올해 3월 온라인 쇼핑 거래액이 전년대비 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3월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3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22조 4163억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2.6% 증가했다.

 

반면 백화점과 대형마트 매출은 감소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3월 국내 주요 23개 유통업체 매출이 작년 같은 달보다 9.2% 증가한 15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온라인 매출은 19.0% 증가했지만, 오프라인 매출은 0.2% 감소했다.

 

오프라인에서는 백화점(-2.1%)과 대형마트(-0.2%) 매출이 나란히 줄었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