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처음… 7월까지 1000대 목표
운전원 업무 부담 감소 등 효과
전국 최초로 한 달째 운영하고 있는 광주시의 ‘현금없는 시내버스’의 현금함 철거율이 30%에 달했다.
광주시는 올 7월까지 목표 102개 시내버스 노선 1000대 가운데 5일까지 36개 노선 300대의 현금함을 철거했다고 밝혔다. 광주시에 따르면 전체 노선 현금이나 계좌이체는 0.5%로 지난해 1.9%, 올해 1월 1.6%, 3월 1.1% 등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노인과 금융저신용 승객 등의 편의를 위해 운영 중인 선불교통카드 판매는 135건으로 집계됐다.
시행 초기에 현금과 계좌이체가 크게 줄어 운전원 업무 부담이 줄고 안전운행 여건 등이 개선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시민들이 제도에 대한 관심이 높고 교통카드를 미리 준비한 것으로 보인다. 광주시는 폭넓은 시민의견 수렴, 버스업체와 소통협력 등이 효과를 낸 것으로 보고 있다. 제도의 안정적 전환을 위해 현장 점검 등 상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시민 불편이나 운전원의 애로사항 등을 빠르게 파악해 개선하고 있다.
시는 앞서 시민 공감대 형성과 동참을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올 3월까지 시범운영을 하며 ‘현금없는 시내버스 제도’를 홍보하고, 시민 온라인 의견조사, 광주시의회, 전문가 등 각계 의견을 수렴했다. 이를 반영하기 위해 여러 차례 태스크포스(TF)팀 협의를 거쳐 재래시장, 노인타운 등을 후순위로 하는 노선별 순차 도입과 계좌이체, 선불교통카드 판매 등 현금 대체 방안을 마련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