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거주 2년 의무화’로 매매 거래는 부진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아파트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 규제에 직면하자 매매 대신 경매시장으로 눈길을 돌리는 투자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5일 경·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 낙찰률(경매 진행 건수 대비 낙찰 건수 비율)은 44.3%로 집계됐다. 경매가 진행된 264건 중 117건이 낙찰됐다.

눈에 띄는 건 강남 3구 아파트 경매 열기다. 강남구 아파트의 경우 지난달 경매가 진행된 7건 중 5건이 최종 매각되며 낙찰률이 71.4%에 달했다. 서울 평균 낙찰률보다 27.1%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송파구의 낙찰률은 64.3%(14건 중 9건 낙찰), 서초구는 57.1%(7건 중 4건 낙찰)로 강남 3구 모두 경매 성사 비율이 서울 평균보다 높았다. 강남 3구의 평균 낙찰가율(감정평가액 대비 낙찰가격)과 평균 응찰자 수 역시 각각 102.5%, 9.40명으로 서울 전체 평균(97.2%, 8.56명)을 웃돌았다.
최근 경매 시장에서 강남 3구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커진 데는 지난 3월 서울시의 토허구역 확대 재지정이 영향을 미쳤다. 강남 3구 및 용산구가 토허구역으로 묶이면서 아파트 매매 거래 시 실거주 2년 의무가 적용되는 것과 달리 경매 물건은 실거주 규제에서 자유로워 투자자들이 경매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반면 매매 시장에선 지난 2월 잠삼대청(잠실·삼성·대청·청담동) 토허구역 ‘반짝’ 해제 이후 단기간 급증했던 거래량이 토허구역 확대 재지정 후 급격히 줄어드는 양상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강남구 아파트 거래량은 이날 집계 기준 41건에 그쳤다. 거래 신고 기한이 이달 말까지 남아있긴 하지만 3월(803건)과 비교하면 크게 줄어든 모습이다. 송파(869건→64건)와 서초(431건→12건) 모두 비슷한 흐름이다. 매매 거래 부진은 강남 3구뿐만 아니라 서울 전역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날까지 집계된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총 3353건으로 전월(9703건)의 약 3분의 1 수준이다. KB경영연구소는 최근 보고서에서 “3월 규제 지역 확대 재지정 등 규제 강화로 향후 거래량 증가세가 이어지기는 어려울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