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소 개청 이후 상업시설 급증
공무원 정착·면회객 등 긍정 영향
지역민 사이 추가 유치 공감대도”

“교도소 덕분에 지역경기도 되살아나고 채용도 늘고, 그야말로 일석이조입니다.”
윤경희(사진) 경북 청송군수에게 경북북부교도소는 지역경제 활성화의 보물 같은 존재다. 윤 군수는 청송군 진보면에 있는 각종 교정시설이 지역소멸 위기 극복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롤모델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세계일보와 인터뷰에서 “산업화와 도시화의 물결 속에서 농촌을 떠나 수도권과 대도시로 향한 인구 이동은 자연스러운 흐름이었고, 그 여파로 농촌 지역은 급격한 인구 감소를 겪고 있다”고 전했다.
여기에 저출산 현상이 더해지면서 농촌 인구 감소는 더욱 심각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청송군 역시 이러한 흐름에서 예외는 아니다. 한때 8만명을 웃돌던 청송군 인구는 지난달 기준 2만3615명에 불과하다. 지역소멸의 경고등이 켜진 셈이다. 농촌 인구 감소는 단순한 숫자의 문제가 아니다. 일자리 부족과 문화·복지 기반 시설의 열악함은 다시 젊은 세대의 이탈로 이어지고, 이는 지역의 활력을 갉아먹는 악순환을 초래한다.
청송군은 이 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해법으로 ‘교정시설 유치’에 주력했다. 청송군 진보면에는 4개의 교정시설(경북북부1·2·3교도소, 청송보호감호소)이 위치해 있다. 1981년 청송보호감호소를 시작으로, 전국 최대 규모의 교정시설 밀집 지역으로 자리 잡은 진보면은 지역경제 활성화의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교도소 개청 이전인 1980년 당시 진보면의 식품위생업소 수는 51개에 불과했지만, 1985년에는 104개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진보면의 인구는 청송군청 소재지인 청송읍보다 1300여명이 더 많다. 교정직 공무원의 지역 정착과 면회객 유입 등이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주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윤 군수는 “주민들의 인식도 긍정적”이라고 전했다. 그는 “오히려 주민들 사이에서는 지역소멸 위기 극복과 경제 활성화를 위한 추가 유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청송군은 2014년 교정시설 유치 추진위원회 구성 이후, 2021년 법무부 장관 방문 시 유치 건의를 전달했고, 교정본부장과의 면담을 통해 군민의 의사를 전달한 바 있다. 특히 최근 여성 수용자 초과 문제로 인해 여성 전용 교정시설의 확충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청송군은 여성 교도소 유치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교정시설 유치를 위한 청송군의 준비도 착실히 진행 중이다. 군은 자체 예산으로 교정직 공무원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건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상수도 공급 능력 확보를 위한 진보면 상수도 시설 확장 공사, 교정직 공무원의 문화생활을 위한 진보 공공도서관 리모델링, 복합커뮤니티센터 조성 등 다양한 기반 시설 확충에 나서고 있다.
윤 군수는 “교정시설에 대한 거부감이 없는 지역, 이미 효과를 입증한 지역인 청송에 교정시설과 법무부 연수원이 추가로 개청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청송의 교정시설 유치 전략은 단순한 기관 유치를 넘어 지역 소멸이라는 시대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적극적 대응이자 농촌의 새로운 생존 모델”이라고 힘줘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