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韓, 민주시민과 5월 영령을 또다시 능멸”
지난 2일 첫 지역 행보로 광주를 찾아 “저도 호남 사람”이라고 손 모아 외쳤던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정작 5·18 민주화운동을 “광주사태”라고 표현해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4일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5·18 광주 민주화운동을 ‘광주 사태’로 부른 것과 관련해 “광주사태는 5·18 민주화운동을 ‘폭동’, ‘소요’라고 부르던 군사 반란세력의 표현”이라고 비판했다.
조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 전 총리의 5·18 민주화운동 능멸을 강력히 규탄한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한 전 총리가 민주화운동을 ‘광주사태’라고 멸칭했다. 국립5·18민주묘지 참배 시도 하루 만에 광주시민과 5월 영령을 또다시 능멸했다”며 “정부가 국가기념일로 지정하며 5·18 민주화운동을 기린 것이 1997년인데 평생을 정부에서 일한 사람이 이것을 몰랐다니 충격적”이라고 했다.
조 수석대변인은 “이는 민주화운동에 대한 무시이고 민주주의에 대한 무시”라며 “한 전 총리가 국립 민주묘지를 참배하려 하고 통합을 말하는 이유가 내란세력을 용서하자는 뜻이었는가. 윤석열의 아바타답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것으로 분명해졌다. 한 전 총리는 윤석열의 대리인으로 윤석열에 대한 국민 심판을 막고 내란 종식을 방해하기 위해 나온 것”이라며 “한 전 총리는 내란 종식을 방해하지 말고 집으로 돌아가 국민의 심판을 기다리기 바란다”라고 했다.

앞서 지난 2일 한 전 총리는 오후 5시 35분쯤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 도착해 지지자 100여명의 연호를 받으며 민주묘지로 향했다. 그러나 민주묘지로 들어가는 초입인 ‘민주의 문’ 앞에서 한 전 총리의 대선 출마와 5·18 묘지 참배를 비판하는 시민단체 ‘내란청산·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과 ‘오월정신지키기범시도민대책위’ 관계자들에게 가로막혔다.
지지자들에게 둘러싸인 채 10여 분간 민주묘지로 들어가지 못한 한 전 총리는 헌화·분향 대신 민주의 문 앞에서 고개를 숙이며 참배를 대신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