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국장급(3급 부이사관) 자리 신설 움직임에 도 안팎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도는 최근 1년 사이 5개의 국장직을 새롭게 만들려고 했으나 이 중 2개는 도의회의 제지로 보류된 상태다. 경기도의회의 경우 사무처장(2급)과 전문위원(4급)을 잇는 중간 직제 없이 운영되다가 최근 행정안전부의 관련 규정 개정령안 입법예고로 가까스로 3급 한 자리를 확보했다.
4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 3급 부이사관인 도시개발국장과 경기도서관장 직급 신설과 관련한 조직개편안이 이달 1일 입법예고돼 다음 달 도의회 정례회에서 심의된다.

도시개발국장은 도시주택실장 산하인 택지개발과, 노후신도시정비과, 신도시기획과, 자산개발과의 4개 과를 맡는다. 경기도서관장은 행정1부지사 직속으로 10월 개관 예정인 경기도서관 업무를 총괄한다.
앞서 도는 지난해 6월 인공지능(AI)·국제협력·이민사회국장의 3개 자리를 새롭게 만든 바 있다. 지난해 3월 행안부가 ‘지자체 행정기구·정원기준 규정’을 개정한 데 따른 후속 조처였다. 이와 관련해 도는 AI 관련 신사업 발굴과 국제협력 및 투자유치, 외국인 주민 지원 등의 행정수요를 반영했다고 밝혔다.
도시개발국장은 도시주택실장 산하 12개 과를 나눌 필요가 있어서, 도서관장은 경기도 대표도서관을 이끌 전문인력이 요구돼 각각 자리를 마련했다는 것이다. 현재 도 본청의 3급 자리는 모두 25개로, 도시개발국장과 경기도서관장이 신설되면 27개로 늘어난다.
노조는 일부 국장급 인사를 외부에서 영입하려는 움직임에 비판적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도의회 역시 지난달 임시회 상임위원회에서 보류된 사안을 도가 재추진한다며 반발한다. 도의회는 그동안 사무처에 가교 역할을 할 3급 간부가 없어 업무 효율성 저하를 이유로 중간 관리직 신설을 정부에 요구해왔다. 결국 개선방안이 중앙지방협력회의에서 의결된 뒤 지난달 행안부는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기준 등에 관한 규정’ 일부개정령안을 통해 이를 수용했고, 도의회는 가까스로 숙원사업을 이루게 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