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국에서 매매가 이뤄진 아파트 10채 중 9채는 전용면적 85㎡ 이하의 ‘중소형 아파트’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2인 가구 증가세 속 중소형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4일 한국부동산원의 ‘거래규모별 아파트매매거래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아파트 매매거래 총 49만2052건 중 43만9095건(89%)이 전용 85㎡ 이하 아파트였다.
올해 1~2월 역시 전체 매매거래량 6만9709건 가운데 6만2899건(90%)이 중소형 아파트 거래였다.
분양업계에서는 최근 1~2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실용적이고 관리하기 쉬운 중소형 아파트를 찾는 이들이 늘어난 점이 거래 확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1인 가구는 지난해 동월 대비 18만661가구 늘었으며 2인 가구는 13만3928가구 증가했다. 3인 가구는 소폭 증가(2만2775가구)했으나, 4인 가구와 5인 가구는 각각 9만4795가구, 3만5761가구 감소했다.
아울러 대형 아파트 대비 상대적으로 가격 부담도 적어 내 집 마련 수요자들에게 진입 장벽이 낮은 편이라는 점도 중소형 아파트의 인기 원인으로 꼽힌다.
분양업계 한 관계자는 “1∼2인 가구의 증가세가 지속됨에 따라 중소형 아파트의 거래량 증가와 함께 가격 상승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며 “특히 대단지 규모를 갖추고 생활 인프라와 접근성이 우수한 지역의 중소형 단지는 실수요자들에게 더욱 높은 관심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