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안정자금 공급… 고용회복 등 돕기로
석유화학산업 위기로 인한 지역경제 침체가 우려되는 전남 여수시가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됐다. 향후 2년간 관련 기업에 연구개발(R&D), 판로개척, 고용안정 등 다양한 지원 사업이 추진된다.
정부는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향후 2년간 여수지역 기업의 경영안정과 투자, 고용회복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겠다”며 “석유화학산업의 근본적인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업재편 노력도 계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세부적으로 매출 또는 영업이익이 10% 이상 감소한 지역 내 기업에 긴급경영안정자금을 공급하고, 협력업체에는 ‘정책금융 만기연장’(1+1년) 및 우대보증을 지원한다. 친환경·고부가가치 소재 연구·개발(R&D)과 고용지원사업도 우선 제공한다.
또 최 부총리는 미국과의 통상협의도 차질없이 준비하도록 관계 부처에 지시했다. 그는 “지난주 미국 정부와의 ‘2+2 통상협의’를 바탕으로 상호관세 유예기간 내 양국이 합의할 수 있도록 ‘7월 패키지’ 마련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정부는 현장의 절박한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면서 꼭 필요한 지원들이 적기에 이뤄지도록 끝까지 책임과 소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내년까지 ‘싱가포르 K-글로벌 모펀드’ 설립을 마무리하는 동시에 건설 자재비 인하 효과가 공사비 안정화로 이어지도록 매월 시장을 점검하고 불법·불공정 관행을 수시 단속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정부는 기획재정부·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 태스크포스(TF)를 5월 초 출범하고, 건설부문 부진요인을 철저히 분석하는 동시에 활성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