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韓 대행, SKT 해킹에 “유심 교체 적정성 점검… 투명하게 알려야”

입력 : 2025-04-27 14:28:51 수정 : 2025-04-27 14:36:46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국민 ‘불편 해소’ 강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뉴시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27일 SK텔레콤(SKT)의 해킹 사고를 두고 “해당 사업자의 조치 적정성을 면밀히 점검하라”고 지시했다.

 

한 권한대행은 이날 SKT의 유심(USIM) 보호 서비스 가입과 유심 교체 등 조치의 적정성 점검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 부처가 국민 불편 해소에 전력하기 바란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국무조정실은 전했다.

 

한 권한대행은 “사고 원인을 철저히 분석하고 투명하게 국민들에게 알리는 한편, 국가정보원 등 관계 부처는 날로 증대하는 사이버 공격에 대비한 정보보호 체계를 철저히 점검하고 개선하라”고 주문했다.

 

앞서 SKT 유영상 대표이사는 지난 25일 서울 중구 SKT 사옥에서 열린 고객 정보 보호조치 강화 설명회에서 2300만명에 달하는 전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을 무상 교체한다고 알렸다.

 

유 이사는 “SK텔레콤을 믿고 이용해주신 고객 여러분과 사회에 큰 불편과 심려를 끼쳐 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SK텔레콤을 이용하는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원하는 경우 유심카드를 무료로 교체하는 추가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27일 서울 시내의 한 SK텔레콤 본사 직영점 출입문에 유심 재고 소진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스1

 

SKT는 지난 18일 오후 11시쯤 해커에 의한 악성 코드로 이용자 유심과 관련한 일부 정보가 유출된 정황을 확인하고 20일 오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신고했다. 유출 정보는 가입자별 유심을 식별하는 고유식별번호 등으로 알려졌다.

 

유심은 통신망 내에서 개인을 식별하고 인증하는 데 쓰이는 정보를 저장하는 매체다. 유심 정보가 탈취되면 타인이 이를 토대로 불법 유심칩을 만들어 신원을 도용하거나, 문자메시지(SMS) 데이터를 가로채는 등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

 

SKT는 비정상인증시도 차단(FDS) 시스템과 ‘유심보호서비스’가 유심 교체와 동일한 효과가 있다고 안내했는데, 더욱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고객 목소리가 커지자 추가 선택지 제공 차원에서 이처럼 결정했다.

 

eSIM(이심·내장형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한 SKT의 유심 교체 서비스는 오는 28일 오전 10시부터 시작한다.

 

해킹 피해를 최초로 인지한 지난 18일 24시 기준 가입자 중 유심 교체를 희망하는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전국 대리점 ‘T 월드’ 매장과 공항 로밍센터에서 교체가 진행된다. 다만, 일부 워치 및 키즈폰 등은 대상에서 제외된다.

 

SKT는 19~27일 자비로 유심을 교체한 고객에게도 무상 교체 서비스를 소급 적용, 요금 감면 방식으로 고객이 이미 납부한 비용을 별도 환급한다. SKT 통신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고객에게도 유심을 무상 교체해준다. 시행 시기와 방법은 각 알뜰폰 업체에서 추후 공지할 예정이다.

 

SKT 가입자 전체가 유심을 교체한다고 단순 가정하면 유심 가격 7700원에 고객수를 곱해 약 1771억원이 들어간다. 가입자와 알뜰폰 이용자의 실제 교체 규모에 따라 이 비용은 달라질 수 있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