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 84조’ 해석 논란도 해소해야
민주당 법원 겁박은 반민주 행태
대법원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경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 상고심 재판에 속도를 내고 있다. 그제 이 사건을 대법관 4명으로 구성된 소부(小部)에 배당했다가 곧바로 전원합의체에 회부한 데 이어, 오늘 재판을 속행하기로 했다. 소부의 심리 과정 없이 전원합의체로 올린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조희대 대법원장의 신속 재판 의지가 반영됐다고 한다. 이 사건 1·2심에서는 선거법에 규정된 ‘6·3·3 원칙(1심은 6개월, 2·3심은 3개월 안에 선고)’이 지켜지지 않아 비판 여론이 높았다. 법원이 늦게나마 신속 재판 원칙에 충실한 행보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 사건은 지지율 1위인 유력 대선 후보의 피선거권 박탈 여부를 판가름하는 중대 재판이다. 이 후보는 2021년 20대 대선 과정에서 허위 사실을 공표한 혐의로 기소됐다. 1심에서 피선거권이 박탈되는 집행유예형이 선고됐지만, 2심에서는 무죄로 뒤집혔다. 이대로 대선이 치러지고 이 후보가 당선된다면 정통성 논란을 피할 수 없다. 대법원이 엇갈린 하급심 판결을 어느 쪽으로든 확정할 필요가 있다. 대선 전에 확정판결이 나와야 한다.
이 후보는 선거법 사건 외에도 위증 교사 사건과 대장동·백현동·위례·성남 FC 사건, 불법 대북 송금 사건 등과 관련된 12개 혐의로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다. 대통령 당선 이후에도 이들 재판이 계속 진행되는지는 또 다른 논란거리다. 이와 관련해 헌법은 ‘대통령은 내란 또는 외환의 죄를 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재직 중 형사상의 소추를 받지 아니한다’는 조항(84조)만 두고 있다. 이 조항의 ‘소추’에 재판도 포함되느냐는 논쟁인 것이다. 워낙 비현실적인 사안이라 판례도 없고, 법조계 견해는 엇갈린다. 이 문제 역시 대법원이 가닥을 잡지 않으면 또 다른 혼란의 불씨가 될 것이다.
이 모든 논란은 사법부의 자업자득이다. 이 후보 선거법 사건은 1심 재판에만 2년 2개월이 걸렸다. 1심 재판장은 재판을 1년 넘게 진행하다가 선고도 하지 않고 갑자기 사표를 냈다. 이 후보 측의 잦은 송달 서류 미수령과 재판 불출석 같은 지연 전략이 있었다지만, 늑장재판의 1차적 책임은 법원 몫이다. 대법원은 신속하고 공정한 판결로 이 후보 재판 논란에 종지부를 찍고 신뢰를 회복하길 바란다. 민주당 정청래 의원은 어제 “대법이 국민 참정권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한다면 국민이 용서치 않을 것”이라고 법원을 겁박했다. 반민주적 행태다. 정치권은 차분히 재판 결과를 기다려야 한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핵추진잠수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44.jpg
)
![[기자가만난세상] 한 줄의 문장을 위해 오늘도 뛴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04.jpg
)
![[세계와우리] 멀어진 러·우 종전, 북핵 변수 될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31.jpg
)
![[삶과문화] 공연장에서 만난 안내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767.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