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과 경협, 해외 두뇌·투자 유치
3가지 방안으로 경제 발전 도모”

최태원(사진)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한계에 부딪힌 한국 경제가 도약하기 위해 일본과의 경제 협력, 해외 두뇌 유치, 해외 투자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최 회장은 22일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국회 미래산업포럼’ 발족식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포럼은 국회미래연구원이 급변하는 국제질서 속에서 산업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방향을 논의하고자 만들어졌다.
최 회장은 “한국은 중국의 10분의 1 정도 경제규모인데 성장 속도는 미국·중국보다 늦다”고 진단했다. 그는 한국이 성장동력을 잃어버린 원인으로 세계무역기구(WTO) 체제로 대표되는 자유무역질서의 종식과 향후 30년간 이어질 전망인 미·중 패권 전쟁을 들었다. 그는 또 “10년 동안 한국의 10대 주력상품이 판박이였는데 채산성은 계속 악화했다”며 “30년 전 1만원을 팔면 800원 정도가 남았으나 현재는 320원”이라고 전했다.
최 회장은 그렇기에 새로운 성장모델이 필요하다며 세 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우선 다른 국가와 파트너십을 통해 경제 권역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저출생·고령화, 국제사회에서의 위상 등을 볼 때 처지가 비슷한 일본을 주요 후보로 거론했다. 최 회장은 “한국과 일본이 (시장 간 장벽을 걷어낸 경제 공동체 형태로) 병합할 수 있다면 이것을 아세안의 다른 국가로 더 늘려나갈 수도 있다”고 제안했다.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고급 인재 유치 필요성도 강조했다. 최 회장은 일정한 직장, 소득·세금 납부 수준 등을 충족할 경우 국내 거주를 보장하는 ‘조건부 그린카드’ 등의 방법으로 무분별한 해외 인재 유입에 따른 정체성 혼란 등 부작용들을 피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