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전남 신안에 국내 최대 해상 풍력단지 만든다

입력 : 2025-04-23 06:00:00 수정 : 2025-04-22 20:29:08

인쇄 메일 url 공유 - +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 지정
2033년까지 원전 2기 이상 규모
민관 공동추진… 주민수용성 높여

전라남도가 2033년까지 신안군 해역 일대에 3.2GW 규모 해상풍력 집적화단지를 조성한다. 해상풍력 단지로는 국내 최대 규모로, 발전용량이 원자력발전소 2기 이상과 맞먹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신재생에너지정책심의회 심의·의결을 거쳐 전남 신안군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로 지정, 공고한다고 밝혔다.

집적화단지란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입지를 발굴하고 지자체와 지역주민, 어업인 등이 민관협의회를 구성해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추진하는 구역이다. 전라북도가 지난 2월 전북 부안군과 고창군 일대에 원전 1기 규모(1.4GW)의 해상풍력 단지를 짓는다고 밝혔는데, 신안군 해상풍력 단지는 이보다 1.8GW 이상 용량이 크다.

이번 해상풍력 단지는 민관 공동으로 추진해 주민수용성을 확보하기 용이하다. 정부는 한국전력에 공동접속설비 구축을 요청할 수 있다. 공동접속설비란 여러 해상풍력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하나의 지점으로 모아 육지로 송전하는 설비로, 개별 발전소마다 송전선을 설치하는 것보다 한 곳으로 모아 송전선을 설치하는 경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전남도는 2021년부터 정부 지원 사업을 통해 기존 개별 사업자가 진행하던 풍력단지를 대상으로 인허가 저촉 여부를 조사해 사업구역을 재배치했다. ‘공공주도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개발지원사업’이라는 명칭으로 정부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21억7000만원을 들여 풍력단지 건설을 추진한 바 있다. 아울러 전남도는 주민·어민 대표가 포함된 민관협의회를 구성해 이 지역에서 추진하는 사업이 주민 수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했다.

전남도는 송전선로가 지나갈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주민대표까지 민관협의회에 참여시켜 전력계통협의체, 주민설명회 등을 추진한다. 발전소 및 관련 설비 건설 과정에서 국내 해상풍력 공급망 활성화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박유빈 기자 yb@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송지효 '바다의 여신'
  • 송지효 '바다의 여신'
  • 김다미 '완벽한 비율'
  •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트리플에스 김유연 '심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