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서울시 “‘싱크홀 원인’ 30년 이상 노후 하수관로 전수조사”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4-16 18:06:04 수정 : 2025-04-16 18:06:02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서울시가 싱크홀(땅꺼짐)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오래된 하수관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이고 추가 재원 마련에 나선다.

 

서울시는 16일 설명자료를 내고 “(경과년수) 30년이 도래한 하수관로에 대해서는 지난해 9월부터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며 “30년 이상 하수관로에 대한 전수조사 역시 조만간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 3월 25일 서울 강동구 대명초등학교 인근 사거리에서 전날 발생한 싱크홀(땅 꺼짐) 사고 현장의 모습이 보이고 있다. 뉴스1

이어 “지반침하 발생 요인이 많은 구역에 대해서는 내년까지 조사 완료할 계획”이라며 “상태평가 결과에 따라 정비 대상 하수관로를 지속 정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 서울 하수관로 총연장 1만866㎞ 중 3300㎞(30.4%)가 매설된 지 50년이 지난 ‘초고령’ 하수관으로 나타났다. 30년이 넘은 하수관로는 6028㎞(55.5%)으로 절반이 넘었다. 일반적으로 경과년수가 30년 이상이면 노후 하수관으로 분류한다.

 

시는 환경부 제정 ‘하수관로 조사 및 상태등급 판단기준 표준매뉴얼’에 따라 우선 폐쇄회로(CC)TV를 통해 상태를 평가한 뒤 4, 5등급 판정을 받은 하수관로를 정비대상으로 선정해 우선 정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비 시급성을 기준으로 1·2등급은 ‘낮음’, 3등급은 ‘보통’, 4등급은 ‘높음’, 5등급은 ‘매우 높음’이다.

 

시는 하수도 정비를 위한 국비 등 추가 재원을 마련하겠다고도 밝혔다. 시에 따르면 매년 낡은 하수도를 평균 100㎞가량 정비하고 있으나 매년 150㎞가 추가로 노후돼 정비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시는 “공기업하수도특별회계 재원인 관로정비 예산(연 약 2000억원)만으로는 안정적인 하수도 정비에 한계가 있다”며 “국비 등 약 1000억원의 추가재원 마련을 위해 하수도요금 현실화를 추진하고 정부와 지속적으로 협의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병훈 기자 bhoo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나연 '사랑스러운 꽃받침'
  • 나연 '사랑스러운 꽃받침'
  • 있지 리아 ‘상큼 발랄’
  • 장원영 '상큼 발랄'
  • 지예은 '상큼 발랄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