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 대비 3조, AI·반도체 등 4조원
소상공인·취약계층에 4조+α 투입
민주 “최소 15조로” 국힘 “조속 통과”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안을 당초 10조원에서 12조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재해·재난 대응과 통상·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 소상공인·취약계층 지원 등에 각각 3조∼4조원+α가 투입된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 모두발언에서 “국회, 언론 등의 다양한 의견을 고려해 당초 말씀드렸던 10조원 규모보다 약 2조원 수준 증액한 12조원대로 ‘필수추경안’을 편성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우선 대규모 재해·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3조원 이상을 투입한다. 최 부총리는 “재해대책비를 기존 약 5000억원에서 2배 이상 보강하고, 첨단장비 도입 및 재해 예비비 등에 2조원 수준을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세부적으로 중·대형급 산림헬기 6대, AI 감시카메라 30대, 드론 45대, 다목적 산불 진화차 48대 등을 추가로 도입한다.
통상·AI 분야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4조원 이상이 투입된다. 최 부총리는 “정책자금 25조원을 신규로 공급하고, 수출바우처 지원기업도 2배 이상 늘리겠다”며 “AI·반도체 등 첨단산업 관련 인프라·금융·연구개발(R&D) 등에도 2조원 이상 재정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AI 분야에만 1조8000억원을 추가 투입한다.
소상공인·취약계층 지원(4조원+α)에는 △소상공인의 공공요금·보험료 납부에 사용할 수 있는 연간 50만원 수준의 ‘부담경감 크레디트’ 신설 △전년 대비 카드소비 증가분의 일부를 온누리 상품권으로 환급하는 ‘상생페이백 사업’ 추진 △저소득층 청년·대학생, 최저신용자의 생활 안정을 위한 정책자금 공급 2000억원 확대 등이 포함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의 필수추경안에 대해 미묘한 입장차이를 보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각각 ‘증액’과 ‘조속한 통과’를 주장했다. 민주당은 “국회 심의 과정에서 최소한 15조원까지 증액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노종면 원내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한국은행 총재도 15조~20조원이 필요하다고 했다”며 증액 필요성을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추경안에 대한 조속한 처리에 민주당이 협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이번 추경안은 침체된 우리나라의 경제동력을 살릴 실질적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더 이상 지체할 시간이 없다”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