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주 4.5일제 추진 및 주 52시간 근무제 완화 등 유연근무제를 이번 6·3 조기대선 공약에 반영하겠다고 14일 밝혔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14일 국회 비상대책위원회 발언에서 주 4.5일제 근무를 시범실시중인 울산 중구청 사례를 언급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권 비대위원장은 “(울산 중구청) 직원들은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하루8시간 기본근무시간 외에 1시간씩 더 일하고 금요일에는 4시간만 근무하고 퇴근한다”며 “총 근무시간이 줄지 않아 급여에도 변동이 없다. 이는 주 5일 근무체제를 유지하면서도 유연한 시간 배분을 통해 주 4.5일제의 실질적 워라밸 개선을 가져오는 현실적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의힘은 법정근로시간을 유지하되 유연근로를 통해 실질적으로 주 4.5일제 도입 이점을 누릴 수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해 대선공약에 반영하겠다”며 “다만 유연근로제를 도입하더라도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다”고도 했다.
신동욱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와 관련 “주 4일제로 가야 한다는 주장들도 일부 있는데 우리나라가 처한 경제 상황에서 근로 시간을 줄이기는 어렵다”면서 “4.5일이 시간을 축소하자는 뜻은 아니고 근로시간 유연화다. 기업에서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근로시간이 아니고, 내가 선택할 수 있는 여지를 주자는 차원의 정책”이라고 설명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아울러 “주 4.5일제 도입 검토와 함께 업종과 직무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형태의 유연근무를 방해하는 주52시간 근로규제 폐지도 함께 추진하겠다”며 “주5일제와 52시간 규제는 시대의 흐름과 산업 다양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획일적 제도로서 유연한 근로문화 구축에 걸림돌”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유연근무제 적극활용하여 산업별, 직무별, 생애주기별로 다양한 근무형태 가능한 선진형 근로문화정책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