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가 세계일보 여론조사 결과 6·3 대선 레이스에서 압도적 우위를 보였지만 경선 룰을 둘러싼 잡음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가 당원투표 50%·일반국민여론조사 50% 반영을 골자로 하는 새로운 대선 후보 선출 규정을 마련하자 비명(비이재명)계는 강력 반발하고 있다. 두 차례 대권 도전을 통해 당내 지지 기반이 견고한 이 전 대표에겐 날개를 달아준 반면 경쟁 주자들은 들러리로 전락할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2017, 2022년 대선 때 권리당원과 함께 사전 신청한 일반 국민도 모두 선거인단에 넣어 경선 투표를 했다. 다시 이렇게 하면 12·3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정국에서 조직화한 극우 세력의 역선택이 경선 결과를 왜곡할 수 있다는 것이 민주당 친명계의 고민이다. 실제 지난 대선 경선 때도 막판에 역선택 의심 정황이 나타나 이낙연 전 총리가 대승을 거두며 이 전 대표가 위기에 몰린 바 있다. 문제는 비명계가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를 요구하는 상황에서 지난 두 차례 대선 때보다 국민 참여 관점에서 후퇴한 경선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어대명’(어차피 대선 후보는 이재명)의 대세론에 안주한다는 인상을 주게 됐다는 것이다.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근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김두관 전 의원, 김동연 경기지사에 이어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어제 대선 출마 선언을 했으나 당장 ‘기울어진 운동장’ 논란에 경선 흥행도 의문시된다. 다른 후보에 대한 불이익 잡음이 커지거나 추대식 같은 요식 행위의 경선이 된다면 흥행 실패는 물론 이 전 대표의 불통 이미지만 강화해 중도층을 중심으로 비호감도를 높일 수 있다.
세계일보 여론조사는 아직 유동적인 대선 구도를 보여준다. 일례로 이 전 대표는 국민의힘 후보군 중 선호 1위인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의 양자 대결에선 12%포인트 격차로 오차 범위 밖 우위를 보였으나 충청권에선 46% 대 41%로 격차가 대폭 축소했다. 불출마 선언한 오세훈 서울시장과의 대결에선 충청권에서 오히려 뒤처졌다. 1992년 14대 대선 이래 충청권 승자가 대선 승자가 된 점, 지난 대선 패인도 중도층·중원 표심에서의 우위 확보 실패라는 점을 상기하면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이 전 대표는 향후 경쟁자 의견도 과감히 수용하는 포용 행보로 당내 단합과 민심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