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주택 밀집지역 2곳 선정
광역단위 주거환경 개선 추진
경기 부천시가 원도심 재정비로 신도시와의 균형발전을 도모한다. 시민들에게 쾌적하고 안정적인 주거 환경과 정주여건을 제공하기 위해서다.
10일 부천시에 따르면 시는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주요 정책으로 미니뉴타운 시범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사업은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웠던 낙후된 대상지를 광역 단위로 탈바꿈하는 도시 정비 모델이다. 용도지역은 최대 준주거(400%)까지 상향하고, 법적 상한의 1.2배까지 용적률을 완화하는 등 혜택이 주어진다. 낡은 주택들이 밀집해 개선이 필요한 곳 중 최소 면적 10만㎡, 노후·불량 건축물 50% 이상인 곳을 선정한다.
미니뉴타운 대상으로 선정되려면 토지 등 소유자 10% 이상의 동의가 필요하다. 미리 사업 전반의 설명과 대상지 적합 여부 검토에 더해 신청서 및 소유자 명부 작성을 돕는 사전컨설팅을 이행해야 한다. 시는 다음달 중 공모를 거쳐 7월까지 2곳을 정할 계획이다. 연내 재정비촉진지구 지정이 목표다.
시는 역세권 정비에도 행정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서로 연접하지 않은 둘 이상의 구역을 하나로 결합하는 방식이 도입된다. 이 같은 고밀개발로 역세권의 기능과 여건 향상과 함께 사업성이 낮았던 원도심의 공원·주차장 부족 문제가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각종 규제 완화와 신속한 행정 처리로 속도를 낼 방침이다.
역세권의 경우 총면적의 절반이 넘은 부지가 철도 승강장에서 500m 거리 이내 주거지이면서 노후·불량건축물이 60% 이상이면 신청할 수 있다. 원도심이라면 면적 1500∼3000㎡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두 지역은 함께 또는 각각 제안이 가능하다. 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사전컨설팅을 통해 규모와 적합성을 살펴보고 안내할 예정이다.
정비사업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전용 홈페이지도 구축된다. 시는 이번 일정의 첫걸음으로 지난달 현지 주민들과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설명회를 열었다. 장환식 시 주택국장은 “시민들이 체감하는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의 토대를 마련할 것”이라며 “낙후된 삶의 공간을 획기적으로 변화시켜 도시가 균형 있게 발전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