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지역현안 이번엔 꼭”… 대선공약 반영 총력전

, 대선

입력 : 2025-04-10 06:00:00 수정 : 2025-04-09 22:04:49

인쇄 메일 url 공유 - +

지자체들 건의 잇따라

광주 ‘AI 시티’ 등 40개 사업 제시
전남도, 국립의대 설립 등 75건
대전은 교도소 이전 재요청 방침
부산, 산은 이전·신공항 건설 등 꼽아
주요 현안·미래사업 지원 요청 나서

전국 광역자치단체들이 잇따라 각 정당과 대선 후보자에게 건의할 조기 대선 지역 공약들을 내놓고 있다. 이들 시·도는 지역의 현안 사업과 미래 사업을 중심으로 대선 공약 반영에 총력을 쏟고 있다.

 

광주시는 15대 과제 40개 사업(약 81조원 규모) 대선 공약을 제시했다고 9일 밝혔다. ‘AI(인공지능)모델 시티-더 브레인 광주 조성’ 사업이 대표적이다. 이는 데이터를 공급하고 실증과 모델을 활용해 시민 서비스 제공으로 이어지는 AI 순환경제모델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13조원을 들여 2035년까지 초거대 국가 AI컴퓨팅 인프라 구축과 AI 데이터 뱅크 구축 및 메가 샌드박스 지정, 글로벌 AX 실증밸리를 조성하는 것이다. 빛그린·미래 차 국가산단 등에 미래 모빌리티 신도시를 조성하고 양자·휴머노이드 딥테크 산업 기반과 내륙도시 에너지 특화 분산에너지 클러스터 조성도 이번 대선 공약에 포함돼 있다.

 

전남도는 각 후보 대선 공약에 반영할 사업안 75건을 발표했다. 이 중 핵심은 전남지역 국립의과대학 설립과 석유화학·철강산업 대전환 메가 프로젝트, 솔라시도 AI 슈퍼클러스터 허브 구축, 에너지 고속도로 기반 에너지 신도시 조성, 우주발사체 산업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 등이다. AI 첨단 농·축산업 융복합지구 및 K김(KIM) 국가전략산업 클러스터 구축과 남해안 글로벌 해양·관광·문화 거점 조성 등 신성장 프로젝트가 최우선 과제로 포함됐다.

 

대전시는 주요 지역현안이지만 수년째 표류 중인 대전교도소 이전 사업을 대선 공약에 포함하도록 요청할 방침이다. 노후·과밀화 문제를 겪고 있는 대전교도소 이전안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기도 했지만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발목이 잡혔다. 시는 호국보훈파크 사업 또한 대선 공약 반영을 추진 중이다.

 

세종시는 각각 2027년, 2030년 완공 예정인 대통령 제2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에 속도를 내도록 요청할 방침이다. 시는 윤 전 대통령의 주요 대선 공약이었지만 국비 지원이 어려워지면서 민간투자로 선회한 세종 중입자 가속기 암치료센터 건립 사업 또한 차기 정부 지원을 요청한다는 계획이다.

 

충남도는 줄줄이 무산 위기에 처한 지역 현안들을 대선 공약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지난해 기획재정부의 타당성 재조사에서 경제적 효과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통과되지 못한 가로림만 해양생태정원 사업과 사실상 불발된 육군사관학교의 도내 이전, 서산국제공항 건설 사업이 핵심 사업들이다.

 

부산시는 부산 글로벌 허브 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 제정과 한국산업은행 본점 부산 이전이 이번 대선에서 공약으로 반영돼야 할 지역 현안으로 꼽았다. 이들 사업은 비상계엄·탄핵 정국 이후 중단될 위기에 처했지만 대선 공약에 반영해 동력을 다시 확보하겠다는 게 시 복안이다. 2029년 개항 예정인 가덕도신공항의 제2 활주로 건설 사업 역시 부산시가 공을 들이고 있는 지역 현안이다.

 

울산시는 2022년 대선 당시 공약사업들의 진행상황을 점검하는 등 대선 공약 발굴과 재편 사항 등을 들여다보고 있다. 시는 이번주 중 관련 실·국에서 공약 관련 자료를 취합한 뒤 시장 주재 회의를 거쳐 이달 안에 발표할 계획이다.

 

경남도 역시 실·국별 요구사항을 이번주 내 취합하고, 도지사 검토를 거쳐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도는 우주항공청의 안정적 운영과 원전 산업 지원, 중소조선업 활성화 사업을 주요 과제로 삼고 있다.


광주·대전·울산=한현묵·강은선·이보람 기자, 전국종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에스파 지젤 '반가운 손인사'
  • VVS 지우 '해맑은 미소'
  • 김지연 '청순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