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생활자금 등 4000억 지원”
정부, 3일 피해 사전조사 일단락
대통령 권한대행 한덕수 국무총리는 2일 “산불에 의해 처참하게 파괴된 주택과 마을을 보니 정말 마음이 아프다”며 “우선 주거 문제를 단·중·장기적으로 계획을 잘 세워서 빨리 편안한 주거환경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 권한대행은 이날 산불 피해 복구 현장인 경북 영덕군 노물리 마을을 방문한 자리에서 “주민들께서 상실감과 고통을 얼마나 받으셨을까 생각하니까 너무나 가슴이 아프다”며 “지방자치단체와 힘을 합쳐 파괴된 지역을 어떻게 살릴 수 있을지 긴밀하게 협의하면서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경제관계장관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산불 피해 농가에 대한 지원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설비·시설 복구, 사료구매, 긴급생활안정자금 지원 등에 기정예산 등을 활용해 4000억원 이상 신속 지원하겠다”며 “농작물·가축 등에 대한 재해복구비와 재난지원금을 피해조사 종료 후 즉시 지원하고, 재해보험금은 희망 피해 농가에 50% 선지급한다”고 말했다.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산불 피해 집계를 위한 사전조사를 3일 일단락할 예정이다. 이한경 중대본 차장(행안부 재난안전본부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북·경남·울산 산불대응 중대본 12차 회의를 주재하며 “현재 1951세대 3278명의 산불 피해 주민들이 임시 대피 생활을 하고 계신다”며 “정부는 공공임대주택을 활용한 긴급 지원절차, 전세임대주택 특례제도를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대본에 따르면 정부는 경북·경남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을 모두 진화한 뒤로 이재민 지원과 복구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이재민이 보다 편안한 주거공간에서 머무를 수 있도록 전날 임시대피시설 100여곳에 있던 이재민 약 1800명을 생활근거지가 있는 마을회관, 공공기관 연수시설 등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정부는 앞으로도 임시 조립주택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전세주택 등 이재민이 희망하는 임시 주거시설로 옮겨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산불과 산사태 관리 주체는 내년 2월부터 통합된다. 산림재난방지법이 내년 2월1일 시행된다. 산림재난 유형에 따라 별도 운영되던 한국산불방지기술협회(산불), 한국치산기술협회(산사태), 산림병해충모니터링센터(병해충)가 통합 운영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