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尹 파면 때까지 광화문을 거점으로”…민주당이 소환한 천막당사의 역사

, 이슈팀

입력 : 2025-03-23 15:58:39 수정 : 2025-03-23 16:09:31

인쇄 메일 url 공유 - +

24일부터 광화문에 설치·운영
헌재 선고 촉구 결의안도 추진
야당 거리 투쟁 상징 ‘천막 정치’

더불어민주당이 서울 광화문에 천막당사를 운영한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을 선고할 때까지 당이 이곳을 ‘거점’ 삼겠다는 계획이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가 23일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23일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민주당은 내일부터 광화문에 천막당사를 설치해 운영하겠다”며 “헌재가 윤석열 파면을 선고할 때까지, 민주당은 광장에서 국민과 함께 싸우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광화문 천막당사를 내란수괴 파면과 대한민국 정상화의 거점으로 삼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오늘(23일)은 12·3 내란 사태가 발발한 지 111일째다. 헌재 선고가 늦어지며 국민의 불안과 사회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며 “헌법 수호 기관으로서 헌재가 책임 있게 이 혼란을 끝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또 헌재의 선고를 촉구하기 위한 결의안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한 국회의원 전원으로 구성되는 전원위원회도 열 것으로 보인다.

 

박 원내대표는 “국회의원 전원의 이름으로 결의안을 내면 구속력이 없더라도 상당한 호소력이 있지 않겠나”라며 “현재 정해진 본회의 일정은 27일인데, 그 전에 전원위를 열자고 국회의장실에 의견을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한나라당이 2004년 3월 여의도에 설치한 천막당사의 모습. 세계일보 자료사진

 

기존 당사를 두고 거리에 세우는 천막당사는 주로 야당의 정치적 투쟁 도구로 쓰였다.

 

대표적인 예가 국민의힘 전신인 한나라당이 2002년 16대 대선에서 기업들로부터 수백억원에 달하는 비자금을 받은 일명 ‘차떼기’ 사건 때다. 사태가 일파만파로 커지자 박근혜 당시 의원은 2004년 3월 비상대책위원장에 오르며 여의도공원 옆에 천막당사를 차렸다.

 

차떼기로 모은 돈을 갚기 위해 당사를 매각하고 총선을 한 달 남긴 시점에서 국민을 향해 “마지막으로 기회를 달라”고 호소하기 위한 차원이었다. 결국 한나라당은 총선에서 열린우리당(152석) 뒤를 이어 121석을 확보하는 ‘선전’을 거두게 됐다.

 

역시 야당 시절이던 2018년 4월 자유한국당은 ‘드루킹 특검’을 요구하며 국회의사당 앞에 천막당사를 설치했고, 같은 해 12월엔 당시 민주평화당이 연동형 비례대표제 등을 요구하며 마찬가지로 천막당사를 펴고 투쟁을 벌였다.


이종민 기자 jngm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