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中대사관 당국자에 항의
서해상에 중국이 설치한 철골 구조물을 우리 정부가 조사하던 중 양국 해경이 대치하는 일이 발생했다. 외교부는 중국 측이 한국 조사선을 위협한 데 대해 주한 중국대사관에 항의했다.
18일 정부 소식통의 말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해양수산부 산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조사선인 온누리호(1422t급)가 이어도 인근 한·중 잠정조치수역(PMZ)에 파견됐다. 중국이 무단 설치한 구조물을 점검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온누리호가 구조물에 약 1㎞ 거리까지 접근하자, 중국 해경과 고무보트 3대에 나눠 탄 민간인들이 온누리호에 접근해 조사 장비 투입을 막았다. 이에 대기하던 한국 해경도 함정을 급파해 현장에서 중국 해경과 2시간여 대치했다. 중국 측은 대치 당시 “시설이 양식장이니 돌아가달라”는 취지로 말했고, 우리는 “정당한 조사를 하고 있다”는 취지로 발언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중국 측 민간인들이 작업용 칼을 소지한 상태였지만 흉기를 휘두르지는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PMZ는 서해 중간에 한국과 중국의 200해리 배타적 경제수역(EEZ)이 겹치는 수역의 일부로, 양국 어선이 함께 조업하고 양국 정부가 수산자원을 공동 관리한다. 항행과 어업을 제외한 다른 행위는 금지된다. 하지만 근래 중국 측이 이 수역에 직경·높이 각 수십m 규모의 이동식 철골 구조물을 잇따라 설치하면서, 영유권 주장 근거를 만들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중국은 지난해 4∼5월 구조물 2기를 설치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구조물 1개를 추가 설치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모두 양식을 위한 어업용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를 주시해 오던 정부 당국이 이번에 현장 조사를 시도했으나 중국 측 반발로 결국 제지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외교부 실무선에서 중국대사관 당국자를 만나 우리 정부의 엄중한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외교부 본부로 불러들인 것은 아닌 것으로 알려져 정식 초치보다는 낮은 수위로 파악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