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협회장으로 취임한 이청 삼성디스플레이 대표이사 사장은 중국 기업과 기술 격차가 좁혀지는 데 대해 “플래그십이나 앞선 기술에서는 아직 격차가 있다”고 말했다.
이 사장은 이날 서울 송파구 잠실 롯데호텔에서 2025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정기총회·이사회가 열리기 전 언론과 만나 “(중국과 기술 격차 축소는) 굉장히 걱정스러운 부분이나 어떻게 기술 격차를 다시 벌릴 것인지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스마트폰 패널 시장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애플 아이폰과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 등 프리미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패널 출하에 힘입어 출하량 3억7800만대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중국 BOE였다. 올해는 애플이 공급업체를 다변화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삼성디스플레이의 출하량이 지난해보다 3.5% 감소한 3억6500만대를 기록할 것으로 트렌드포스는 내다봤다.
이 사장은 중국 업체들이 구형 제품뿐 아니라 최신 패널에서도 발 빠르게 따라오고 있는 만큼 투자, 지속적인 연구개발(R&D) 등을 통해 기술 초격차를 유지한다는 구상이다. 중소형에서는 정보기술(IT)·차량용 패널 판매를 확대하고, 대형에서는 최상위 프리미엄 TV 패널 입지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이 사장은 이날 총회에서 제10대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협회장으로 취임했다. 당초 협회장 임기는 3년이지만 전 삼성디스플레이 사장이었던 최주선 삼성SDI 사장으로부터 협회장 자리를 이어받아 2년간 협회장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이 사장은 취임사를 통해 “어려운 시기에 중책을 맡은 만큼 한국 디스플레이의 경쟁력을 높이고 산업 발전에 보탬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중국의 매서운 OLED 추격에 액정표시장치(LCD)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지만, 앞선 기술로 리딩한다면 성장의 기회를 주도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협회는 OLED 초격차 실현과 마이크로 LED 기술 확보 및 생태계 조성에 나설 계획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