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사태로 국내 금융권에서 위기의식이 확산하고 있다. 홈플러스에 대출 및 투자를 한 금융사들은 5조원에 달하는 부동산 등 자산을 통해 손실을 볼 일은 없다는 입장이지만 향후 자산 가치가 기대한 만큼 받쳐줄지는 미지수다.

12일 하나증권 김상만 연구원은 ‘홈플러스가 쏘아 던진 작은 조약돌’ 보고서를 통해 “홈플러스가 사모펀드(MBK파트너스)에 인수될 당시 부담하게 된 인수금융의 상당 부분은 자산매각 등을 통해 상환 부담을 줄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못하다”며 “매각된 점포를 재임차 방식으로 홈플러스가 쓰면서 채무의 형식이 일반차입금에서 리스 부채로 바뀐 것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또 “간접금융채무의 비중이 확대된 현 상황에 향후 홈플러스의 자산 매각 과정 등 홈플러스 채무조정이 순탄하지 않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홈플러스의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를 구매한 투자자들의 손실도 현실화하면서 책임공방도 격화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물품 구매대금 결제를 위해 카드사의 구매전용카드를 사용했고 이때 증권사를 통해 ABSTB 약 4000억원어치를 발행했다.
증권사들은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알고도 고의로 채권을 발행해 피해를 끼쳤다고 주장하고 있고, 홈플러스는 사전에 증권사에 등급 강등 사실과 수요 예측 문의를 했었다는 입장이다.
‘홈플러스 유동화 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는 금융감독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부분 전문투자자가 아닌 일반 소매판매로 채권을 사들인 개인 투자자들”이라며 “채권을 상거래채권으로 분류해달라”고 촉구했다. 회생절차에서 법적으로 보호받는 상거래채권으로 인정되면 금융채권보다 우선변제를 받을 수 있다.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신한·삼성·현대·KB국민카드는 최근 홈플러스 상품권 구매 승인을 중단했다. 상품권은 상거래채권으로 정상 거래되지만 고객 피해 방지를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앞서 신라면세점과 CJ푸드빌 등 일부 제휴사도 기업회생 신청 이후 상품권 사용을 중단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