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동일본대지진 14년… 2만8000명 아직 피난생활

입력 : 2025-03-11 19:46:24 수정 : 2025-03-11 23:35:00

인쇄 메일 url 공유 - +

사고 원전 폐로 등 뒷수습 지지부진
‘2051년 폐기 완료’ 지켜질지 미지수

11일로 발생 14년이 된 동일본대지진으로 지금도 약 2만8000명이 피난생활을 이어가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보도했다.

동일본대지진은 2011년 3월 11일 일본 혼슈 동북부 지역 앞바다에서 발생한 규모 9.0 지진으로 10m가 넘는 쓰나미가 덮쳤고,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가 폭발해 대량의 방사성물질이 방출됐다.

동일본 대지진 참사 14주년인 11일 일본 도쿄에서 시민들이 사고 당시와 같은 시간인 오후 2시 46분을 기해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묵념을 하고 있다. AP뉴시스

닛케이에 따르면 동일본대지진으로 인한 사망·실종자는 이달 1일 기준 2만2228명에 달한다. 원전 주변 지역 주민 등 약 2만8000명은 고향을 떠나 생활 중이다. 피해가 컸던 후쿠시마·이와테·미야기 등 3개 현의 인구는 올해 1월 기준 512만2000여명이다. 사고 전보다 57만5000명(10.1%)가량 감소한 숫자다. 후쿠시마현 전체 면적의 2.2%인 309㎢는 방사성물질에 의한 오염으로 거주할 수 없는 ‘귀환 곤란 구역’으로 남아있다.

사고 원전 폐로 등 뒷수습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일본 정부는 2051년 사고 원전 폐기를 완료한다는 계획을 세워놨지만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적지 않다. 실제 후쿠시마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계획보다 3년가량 늦은 지난해 11월에야 핵연료 잔해(데브리) 약 0.7을 꺼내는 데 겨우 성공했다.

동일본대지진 14주기… 희생자 추모 2011년 3월 11일 발생한 동일본대지진 14주기를 맞아 10일 일본 후쿠시마현 후타바마치에서 추모객들이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해 켜진 촛불을 바라보고 있다. 동일본대지진으로 인한 사망·실종자는 이달 1일 기준 2만2228명에 달하고, 원전 주변 지역 주민 등 약 2만8000명은 고향을 떠나 생활 중이다. 후타바마치=AFP연합뉴스

원전 사고 후 주변 주택, 농지 등을 대상으로 방사성물질 제염 작업을 하면서 벗겨낸 흙(제염토)의 처분도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중간 저장시설에 반입돼 있는 제염토는 도쿄돔 11개를 채울 분량인 약 1400만㎥에 달한다.


도쿄=강구열 특파원 river910@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차주영 '시크한 매력'
  • 차주영 '시크한 매력'
  • 수지 '청순 대명사'
  • 에스파 윈터 '완벽한 미모'
  • 한소희 '오늘도 예쁨'